; ; '행정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 Page) — 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현재 가치(PV) 이해: 미래 현금 흐름 평가
·
행정학/비용편익분석
현재 가치는 화폐의 시간 가치를 고려하여 미래 화폐 또는 일련의 미래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현가(現價)라고도 합니다. 인플레이션, 기회비용, 위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돈의 가치가 변화된다는 것에 기반한 개념으로, 미래에 받는 화폐가 오늘 받는 화폐보다 가치가 낮다는 생각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즉 편익과 비용 가운데 현재에 발생하지 않고 미래에 발생하는 것들에 대해 할인하는 절차를 거친 현시점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비용-편익분석에서는 비용의 현재가치에 대한 편익의 현재가치의 비율을 구해 타당성을 판단하게 됩니다. 어떤 프로젝트 또는 주식, 채권등에 투자를 결정을 할 때 현재 가치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투자를 고려하거나 잠재적 수익을 분석하거나 프로젝..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란
·
행정학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는 정치·경제·사회현상을 설명하는데 ‘제도’를 중심으로 설정하는 학문적 흐름을 뜻합니다. 신제도주의는 신제도주의는 개인의 행동에 초점을 맞춘 행태주의와 다원주의, 합리적 선택이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등장, 발전한 이론으로, 구제도주의는 제도를 개인이나 집단이익을 반영하는 부수적인 현상으로 바라보았다면, 신제도주의는 개인행위에 대한 공식적·비공식적 제도의 영향력을 강조하는 데에서 기인하고 있습니다. 신·구제도주의의 차이점 사회학에서 신·구제도주의의 차이점은 구제도주의는 분석대상을 개별조직으로 보는 것과 달리, 조직이 제도화되어 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데 있습니다. 구제도주의는 조직의 규범적 가치체계를 중시하며, 개인행위와 개인 간..
사회학에서의 동형화(isomorphism)란
·
행정학
동형화란 무엇인가요? 동형화(isomorphism)란 동일성이라는 뜻처럼 서로 다른 대상 간에 유사성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같은 환경 조건 내에서 다른 조직(unit)을 닮도록 일반 조직을 구속하는 과정(constraining)으로 보고 있다(Hawley,1968). 조직은 생존과 정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동형화(isomorphism)을 통해 조직을 제도화하고 이를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특성을 지닌다. 다만 모든 조직이 생존의 가능성과 정당성을 위해 제도를 통해 조직의 보편적인 목적과 이익을 추구하지만, 조직 내의 개인의 행위에 따라서 이익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조직은 이러한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고 조직의 발전을 위하여 규칙, 의미, 가치 등을 더욱더 정형화된 제도로 형식화하고, 이 안에는 조..
조세특례란 무엇인가요?
·
행정학/예산과 재정
조세특례란 일반적인 세법의 규정에서 벗어나 특정한 목적을 위해 특정한 대상에게 부여하는 세제상의 우대조치를 말합니다. 말 그대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세금을 감면해 주는 법률입니다. 이러한 조세특례에는 조세감면, 비과세, 소득공제, 세액공제, 우대세율 적용 또는 과세이연 등이 있습니다. 조세특례는 정부가 특정 산업이나 계층에게 세금 면제 또는 감액을 통해 지원하는 제도로서, 조세지출의 한 형태입니다 연봉 8000만원도 '월세 세액공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추진 - 머니S 월세로 낸 주거비의 일부를 세액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이 현행 7000만원에서 8000만원으로 상향조정되는 법안이 추진된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고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www.moneys.co.kr 예를 들어 기업에..
할인회수기간법 Discounted Payback Period
·
행정학/비용편익분석
할인회수기간법은 누적 할인된 순현금흐름이 자산이나 프로젝트에 대한 최초 투자를 상쇄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을 측정한 것을 의미하는데, 다시 말하면 DPP는 초기 투자금이 상환되는 기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정의 DPP(Discounted Payback Period)는 화폐의 시간 가치를 고려하여 프로젝트가 초기 투자를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재무평가방법입니다.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자금 회수 기간에만 초점을 맞추는 일반적인 자금 회수 기간과 달리 DPP는 미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하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회수기간(payback period) 법은 사업성(수익성)과 투자의 위험성을 간단하게 따져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
투자수익률 ROI,Return on Investment
·
행정학/비용편익분석
비용편익 분석을 진행하다 보면 ROI와 IRR을 마주하게 됩니다 ROI는 투자수익률, IRR은 내부 수익률을 나타내는 투자 및 프로젝트의 가장 일반적인 척도입니다. ▌정의 투자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 )이란 순이익을 투자액(투자비용)으로 나눈 것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단순성과 이해 가능성 때문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자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재무 지표입니다. ROI는 백분율로 표시되며, 투자 또는 프로젝트로 인해 만들어지는 순수익과 투자액을 비교하여 각각의 서로 다른 투자액을 옵션으로 대안을 비교하게 됩니다. ROI는 이익에 중심을 두고 만들어진 지표이기 때문에 투자효과가 최대화되는 투자 대안이나. 최대 이익을 가져오는 대안을 찾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투자수익률(R..
국회의원이란 - 선출/지위/특권/의무/권리
·
행정학
국회의원은 국민의 대표로서 입법부이며 국민의 대표기관인 대한민국 국회의 구성원을 의미합니다. 의회라고도 하는데 대한민국에서는 의회를 국회라고 호칭하기 때문에 국회의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합니다. 더보기 대한민국헌법 제41조 ①국회는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된 국회의원으로 구성한다. ②국회의원의 수는 법률로 정하되, 200인 이상으로 한다. ③국회의원의 선거구와 비례대표제 기타 선거에 관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제42조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으로 한다. 국회의원은 국민의 선거 4대 원칙인 보통 · 평등 · 직접 · 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되며 임기는 4년입니다.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을 제정하고 국정을 심의합니다. 국회의원의 수는 200명 이상으로 하되 구체적인 수는 법률로 정하..
국회의 구성 - 국회의장단
·
행정학
국회는 독자적인 입법, 정책 결정기관으로서 조직과 구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의회 활동이 어떤 조직 속에서 이루어지고, 어떤 성격, 어떤 형태로 구성되느냐에 따라서 국회의 운영 즉 정책 결정과정과 정책 내용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국회의장단 국회의장단은 국회의장과 국회부의장 2명으로 구성됩니다. 일반적으로 국회의장은 원내1당 (의석수가 많은 정당)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선출된 이후는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당적 보유 및 상임위 활동이 금지됩니다. 대개 65세 이상 5선 이상의 국회의원 중에서 계파색이 엷어서 중립적 입장을 취할 수 있고, 온건파로 분류되고 있는 의원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으며, 임기 후에는 정계 은퇴하는 것이 관례적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의무는 아님). 국회의장단의 선출은 국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