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ur, TPB)은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사회심리학적 모델로, 개인의 행동이 항상 합리적 판단과 의지에 의해 통제될 수 없다는 점에서 출발한다(Ajzen & Madden, 1986). 이 이론은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반영하여, 특정 행동이 단순히 개인의 의지나 결심에 의존하지 않고, 외부적 제약과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현실을 고려한다.
따라서 계획된 행동 이론은 개인의 의지가 행동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다는 비현실적 가정을 보완하여, 인간 행동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제안되었고, 이 모델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통해 인간 행동을 체계적이고 현실적으로 이해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TPB는 행동의 형성과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행동에 대한 태도(attitude),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그리고 인된 행동 통제(perceived behavioural control)라는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이론을 전개한다.
이 이론은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요인 속에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며, 특히 건강, 환경, 소비자 행동과 같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및 개입 프로그램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1. 계획된 행동 이론의 배경 및 이론적 토대
인간 행동의 이해와 예측은 심리학과 사회학에서 오랜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초기 연구에서는 개인의 태도(Attitude)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간주되었으며, 행동을 결정짓는 유일한 요인으로 태도를 강조하였다. 이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개인의 내적 신념과 가치가 행동을 형성한다고 본 전통적인 접근법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가 항상 일관적이지 않다는 점이 밝혀지며, 태도만으로는 행동을 충분히 예측할 수 없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예를 들어, 환경 보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재활용 행동을 실천하지 않는 사례들이 보고되면서,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체계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Fishbein과 Ajzen(1975)은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더 정교하게 설명하기 위해 합리적 행동 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TRA)을 제안하였다. TRA는 행동이 단순히 태도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행동 의도(Behavioral Intention)라는 매개 변수를 통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행동 의도는 특정 행동을 수행하려는 개인의 의지로 정의되며, 이는 두 가지 주요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고 설명된다.
첫째는 태도(Attitude toward behavior)로, 특정 행동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를 의미한다. 둘째는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으로, 행동에 대해 중요한 타인이 가지는 기대와 이를 따르려는 개인의 동기이다. TRA는 행동 의도가 행동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임을 강조하며, 인간 행동이 단순히 태도의 결과물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TRA는 개인의 행동이 완전히 의지와 통제 하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한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행동이 환경적 요인이나 자원 부족과 같은 외부적 제약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금연 의지가 강한 개인이라도 흡연을 유도하는 사회적 환경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행동이 의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한계는 TRA가 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 현실적인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jzen(1985)은 TRA를 확장하여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ur, TPB)을 제안하였다. TPB는 기존 TRA에 지각된 행동 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라는 새로운 변수를 추가함으로써, 행동의 예측력을 높이고 이론의 현실성을 강화하였다.
지각된 행동 통제는 개인이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에 대한 자신감으로 정의되며, 행동 수행 가능성에 대한 개인적 인식을 반영한다. 이는 행동 의도뿐만 아니라, 행동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한다. 이로써 TPB는 행동의 형성과 실행 과정을 개인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외부적 요인까지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계획된 행동 이론의 등장은 인간 행동 연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었다. TRA는 행동 의도를 중심으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을 통해 행동을 예측하려 했지만, TPB는 여기에 행동 통제라는 새로운 요인을 포함시켜 행동 예측 모델의 타당성과 범위를 확장하였다.
이는 행동이 단순히 개인의 의지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보다 정교하게 설명하는 데 기여하였다. TPB의 등장은 행동 과학 및 사회 심리학 분야에서 인간 행동 이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2. 계획된 행동 이론의 핵심 구성 요소
(1) 태도 (Attitude toward the behaviour)
행동에 대한 태도는 개인이 특정 행동을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의미하며, 이는 행동 의도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된다(Ajzen & Fishbein, 1980). 행동에 대한 태도는 행동 결과에 대한 개인의 기대와 그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특정 행동이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을수록 해당 행동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Ajzen, 1991). 반대로 행동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행동에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행동에 대한 태도는 행동의 방향성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태도는 단순히 행동이나 사물에 대한 정보인 신념과는 다르게 감정적 요소를 포함한다(김정자, 2007). Ajzen(2002)은 행동적 신념(Behavioral Beliefs)이 행동에 대한 태도를 형성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신념은 개인이 특정 행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에 대한 기대와 평가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특정 행동이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신념이 강할수록, 해당 행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Costello와 Zalkind(1963)은 태도가 단순히 개인적 신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동료 집단, 문화와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는 행동에 대한 태도가 내적 신념뿐 아니라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복합적으로 형성됨을 보여준다.
행동에 대한 태도는 행동의 복잡성과 개인적 성향, 사회적 이익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은교․신수경, 2016). 개인은 특정 행동이 수행하기 어려운 행동일지라도 결과적으로 큰 이익을 가져온다고 평가되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행동에 대한 태도는 단순한 개인의 선호를 넘어 행동 결과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을 포함하며, 이러한 태도는 한 번 형성되면 쉽게 변화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윤설민·신창렬·이충기, 2014). 예를 들어, 건강한 생활습관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진 사람은 운동과 같은 건강 행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Ajzen & Fishbein(1980)은 행동에 대한 태도가 행동 의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선행 요인이라고 보았다. 행동 의도는 특정 행동을 수행하려는 개인의 결심을 의미하며, 태도는 이 결심을 형성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한다. 특히 행동에 대한 태도는 행동 의도와 함수관계에 있으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일수록 행동 의도가 강화된다고 설명했다(Ajzen, 1991). 예를 들어, 특정 행동이 긍정적 결과를 가져온다고 믿고 이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은 해당 행동을 실행하려는 의도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 반면, 행동 결과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면 행동 의도가 약해질 가능성이 높다.
태도는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행동 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Ajzen & Fishbein, 1980). 이는 태도가 행동의 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행동 자체를 바로 결정짓는 변수는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행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행동 의도가 커지며, 이를 통해 행동 수행 여부를 유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보호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진 사람은 재활용과 같은 환경 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태도는 인간 행동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행동에 대한 태도는 행동 의도 형성과 행동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단순한 신념을 넘어 감정적 요소와 개인적·사회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반영하며, 특정 행동에 대한 개인의 평가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행동 의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태도는 행동 변화 프로그램 설계나 정책 수립 과정에서 행동 예측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된다. 따라서 행동에 대한 태도는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계획된 행동 이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태도의 형성 요소:
- 행동의 결과에 대한 믿음(Belief about outcomes): 특정 행동이 가져올 결과에 대한 개인의 기대.
- 결과에 대한 평가(Evaluation of outcomes): 그 결과를 얼마나 가치 있다고 느끼는지.
- 중요성: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행동 의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태도만으로 행동을 예측하기는 어렵다. 다른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2) 주관적 규범 (Subjective norm)
주관적 규범은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 타인의 기대에 대한 개인의 지각과 이에 순응하려는 동기를 포함한 사회적 압력을 개인이 어떻게 인지하는지 의미한다(Ajzen, 1991). 이는 개인이 어떤 행동을 결정할 때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들이 그 행동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인식과 그러한 기대에 얼마나 순응하려는지에 대한 개인적 동기를 포함한다(이정기 등, 2013a). 예를 들어, 가족, 친구, 동료와 같은 가까운 사람들의 기대가 높을수록, 개인은 그 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커지며, 반대로 부정적 기대가 존재할 경우 행동 수행 가능성은 낮아질 수 있다(Fishbein & Ajzen, 1980).
Ajzen(2002)은 타인의 규범적 기대에 대한 신념이 주관적 규범을 형성한다고 설명하였다. 주관적 규범은 행동에 대한 규범적 신념과 그러한 신념에 순응하려는 개인의 동기로 이루어진다(곽형석, 2012; Ajzen, 1985). 여기서 규범적 신념은 개인이 행동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것에 대해 중요한 준거인(referents)이 지지하거나 반대할 것이라는 지각을 의미하며, 이는 준거인들로부터 지각된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한다(Ajzen & Madden, 1986). 따라서 특정 행동에 대해 행위자의 중요한 주변인이 호의적인 태도를 보일수록 해당 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커지며, 반대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면 행동 가능성은 낮아진다.
주관적 규범은 인간이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행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사회적 규범과 압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손영곤․이병관, 2010). 사회적 규범은 개인이 준거인들로부터 받는 기대와 그 기대에 부응하려는 동기에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정 행동이 가족이나 동료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신념이 강하다면, 개인은 그 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점에서, 주관적 규범은 행동 의도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 중 하나로, 개인의 행동 수행 여부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Ajzen, 1991).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에서 주관적 규범이 중요한 변수로 간주되는 이유는, 개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특정 행동에 대해 기대를 가지면, 그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실제로 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Fishbein과 Ajzen(1980)은 행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준거인들이 행동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행동 수행 가능성이 높아지고,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면 행동 수행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설명하였다. 이는 개인의 행동이 단순히 내적인 태도와 의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에서 주변인의 기대와 지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주관적 규범은 개인의 행동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사회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행동 의도를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주관적 규범은 행동 수행 여부를 결정짓는 사회적 압력을 포함하며, 가족, 친구, 동료와 같은 가까운 사람들의 기대와 태도가 행동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주관적 규범은 인간 행동의 사회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계획된 행동 이론에서 행동 예측의 중요한 변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 주관적 규범의 구성 요소:
- 규범적 믿음(Normative beliefs): 행동 수행에 대해 중요한 타인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는 개인의 믿음.
- 순응 동기(Motivation to comply): 타인의 기대에 따르려는 개인의 동기.
- 사회적 압력의 역할: 주관적 규범은 가족, 친구, 동료와 같은 중요한 관계의 영향을 포함하며, 특정 사회적 환경에서 행동 규범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지각된 행동 통제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지각된 행동 통제는 특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과 자원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의미하며, 이는 행동 의도와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계획된 행동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Ajzen, 1991). Ajzen(2002)은 행동을 실행하거나 방해하는 요인들에 대한 신념이 지각된 행동 통제를 형성한다고 보았으며, 이는 개인이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내적 요인에는 성격, 능력, 기술과 같은 개인적 특성이 포함되며, 외적 요인에는 시간, 자원, 기회와 같은 환경적 요소가 포함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행동 수행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역할을 하며, 개인이 이들을 통제하지 못할 경우 행동 수행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김진연, 2016).
통제 신념(control beliefs)은 행동을 수행하거나 방해하는 요인들의 존재에 대한 신념으로, 이는 지각된 통제에 기여하며,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행동 수행에 필요한 자원과 기회를 제공하거나 제한함으로써 행동 수행의 용이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술과 능력이 충분한 개인은 행동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시간이나 자원이 부족할 경우 행동 수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Ajzen & Driver(1992)는 이러한 통제 신념이 행동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이에 대한 지각된 영향(perceived power)이 지각된 행동 통제의 강도를 결정한다고 보았다.
Bandura(1977)는 지각된 행동 통제와 유사한 개념으로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신념과 확신을 의미한다.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행동 수행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을 인지하는 정도로, 계획된 행동 이론에서 지각된 행동 통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Ajzen과 Fishbein(1980)은 지각된 행동 통제가 행동 수행에 필요한 필수적인 기회와 자원의 존재 여부에 대한 개인적 지각을 포함한다고 언급하였다. 자기 효능감이 높은 개인은 행동 결과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고 평가하며, 이는 행동 의도와 행동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지각된 행동 통제는 행동 수행의 용이함과 어려움에 대한 개인적 신념을 반영하며, 이는 행동 의도뿐만 아니라 행동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Ajzen, 1991). 예를 들어, 개인이 특정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행동 의도는 강화되고 행동 수행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행동 수행이 자신의 통제력 밖에 있다고 인지하는 경우, 행동 의도가 약화되며 행동을 회피할 가능성이 높아진다(Terry & O’Leary, 1995). 또한, 행동 수행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 행동 의도가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실행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는 지각된 행동 통제가 행동 수행 가능성을 현실적으로 평가하고, 행동 의도를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Schifter와 Ajzen(1985)은 개인이 특정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을 가질수록 지각된 통제의 정도가 커지며 행동 의도가 증가한다고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기술적 능력이 충분하고 환경적 자원이 지원되는 개인은 행동 수행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하며, 행동 의도를 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대로, 자원이나 기회가 부족하거나 기술적 어려움이 클 경우, 행동 수행 가능성이 낮아지고 행동 의도도 약화된다.
결론적으로, 지각된 행동 통제는 내적 요인(성격, 기술, 능력)과 외적 요인(시간, 기회, 자원)에 의해 결정되며, 행동 의도와 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다. 개인이 특정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할수록, 행동 수행 가능성이 높아지며, 반대로 통제할 수 없다는 인식이 강할수록 행동 수행 가능성은 낮아진다. 따라서 계획된 행동 이론에서 지각된 행동 통제는 행동의 성공 여부를 예측하고, 행동 변화 프로그램이나 정책 설계에 중요한 기초가 되는 요소로 평가된다.
- 지각된 행동 통제의 구성 요소:
- 통제적 믿음(Control beliefs): 행동을 방해하거나 촉진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인식.
- 행동의 용이성(Perceived ease or difficulty): 외부적 조건이 행동을 얼마나 쉽게 또는 어렵게 만드는지에 대한 평가.
-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와의 연관성: 알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의 자기 효능감 이론에서 영감을 받은 개념으로, 개인이 자신의 능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가 행동 수행 가능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3. 계획된 행동 이론의 전체 구조
위 세 가지 요소는 상호작용하여 행동 의도를 형성하며, 행동 의도는 실제 행동 수행의 가장 중요한 선행 조건으로 작용합니다. 이 구조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 행동 의도 → 실제 행동
- 지각된 행동 통제 → 직접적으로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
행동 의도(Intention):
행동 의도는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핵심 구성 요소로, 특정 행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주관적 경향성과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는 행동을 결정하기 전 행동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요소로,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가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Ajzen, 2002). 즉, 특정 행동을 실행하겠다는 개인의 의지나 신념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행동이 실제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Ajzen(2005)은 행동 의도를 행동 태도와 행동 사이의 중간 변수로 정의하며, 이를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연결하는 개인의 상태로 인식되는 주관적 가능성 차원이라고 설명하였다. 계획된 행동 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특정 행동은 행동 의도를 통해 실현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행동 의도가 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 그리고 높은 수준의 지각된 행동 통제가 존재할 경우, 행동 의도는 강화되며 이는 행동 수행 가능성을 높인다.
그러나 행동 의도가 있다고 해서 모든 행동이 반드시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Ajzen, 1991, 1985). 행동 의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가능성이 있으며,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행동을 예측하는 정확성이 높아진다(Lam & Hsu, 2004). 행동 의도가 행동을 예측하는 데 좋은 변수로 작용하려면, 의도의 안정성, 시간의 경과, 새로운 정보, 예기치 못한 사건과 같은 요인을 통제해야 한다(박종희, 2007). 따라서 행동 의도는 행동의 즉각적인 결정 요인으로 간주되며, 행동을 예측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Ajzen & Fishbein, 1980).
계획된 행동 이론에서는 행동 의도가 행동을 실행하기 위한 지각된 계획의 강도를 의미하며, 이는 행동의 변화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는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긍정적인 기대가 행동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행동 가능성을 높인다. 반대로 부정적인 기대가 있으면 행동 의도는 약화되고 행동 가능성도 감소한다(Ajzen, 1991). 예를 들어, 어떤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할 경우, 개인은 해당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부정적인 결과가 예상될 경우 행동 참여 의도는 약화된다.
결론적으로, 행동 의도는 특정 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로, 이는 행동을 결정짓는 즉각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행동 의도는 개인이 특정 행동을 수행하겠다는 의지의 크기와 신념을 반영하며,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와 같은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계획된 행동 이론의 모형에서는 행동 의도가 행동을 결정짓는 가장 강력한 예측 변수로 간주되며, 개인의 행동 변화와 동기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행동(Behaviour)
행동은 사람의 정신적, 육체적, 사회적 활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관찰 가능한 개인의 반응으로 정의된다(Fishbein & Ajzen, 1977). 행동 의도와 지각된 행위 통제가 양립할 때 행동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되며, 이는 긍정적인 의도가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지각된 통제감이 강할 때 더 잘 실현된다(Ajzen, 1991). 계획된 행동 이론은 개인의 행동을 단순히 의지로 통제할 수 있는 범위에서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의지와 통제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행동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행동은 특정한 상황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이고 관찰 가능한 활동으로 정의되며, 미래에 수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행동을 예측하거나 실현하는 과정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뛰기, 말하기, 걷기와 같은 외적으로 표현되는 행동과 기쁨, 슬픔, 미움과 같은 내적으로 표현되지 않는 행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Spiegler & Guevrmont, 2003). 이처럼 행동은 단순히 육체적 활동에 국한되지 않고, 심리적 또는 정서적 반응까지 포함하는 폭넓은 개념으로 이해된다.
행동의 목적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되고 실행되기도 하며, 때로는 습관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학업 성취를 위한 공부는 목표 지향적 행동인 반면,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습관적 행동도 행동의 범주에 포함된다. Ajzen(1985)은 행동이 개인의 의지로 일부 통제가 가능하기도 하고 어렵기도 하며, 이러한 통제 가능성은 행동 수행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설명하였다. 특히 행동은 명확한 경계선을 가지기보다는 양극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간주된다.
계획된 행동 이론에서 행동은 행동 의도와 지각된 행위 통제가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이는 합리적 행동 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과 구별된다. 합리적 행동 이론은 개인 의지로 통제 가능한 행동을 예측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반면, 계획된 행동 이론은 개인의 의지로 통제가 다소 어려운 행동까지도 설명할 수 있는 확장된 모델로 기능한다(Ajzen, 1991). 예를 들어, 특정 행동이 외부적 요인(시간, 자원, 환경 등)이나 내적 요인(능력, 심리적 상태)의 영향을 받을 경우,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이러한 제약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행동을 예측한다.
결론적으로, 행동은 개인의 의도와 지각된 통제력에 의해 결정되는 결과로, 단순히 개인의 의지에 의존하지 않고 사회적,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한다.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이러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이는 의지적 행동과 비의지적 행동 모두를 포괄하며, 행동 변화 프로그램 및 정책 설계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4. 계획된 행동 이론의 응용 분야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개인의 행동 의도와 행동 수행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 유용한 틀을 제공하며, 다양한 실생활 문제 해결에 응용되고 있다. 이 이론은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라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을 활용하여 특정 행동의 수행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건강 행동, 환경 행동, 소비자 행동과 같은 여러 영역에서 계획된 행동 이론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1) 건강 행동
계획된 행동 이론은 건강 증진을 위한 행동 변화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흡연 중단 프로그램에서는 금연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며, 금연이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타인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알린다. 이러한 접근은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Attitude)**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동시에, 금연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지각된 행동 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를 강화하여 흡연자의 행동 의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금연 의지가 강하지만 실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환경적 또는 심리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운동 장려 프로그램은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교육하고, 이를 통해 운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와 더불어, 주변 지인의 지지와 피드백을 활용하여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을 강화한다. 헬스장 할인, 운동 시간 제공과 같은 실행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은 지각된 행동 통제를 증가시켜 운동 의도를 강화하는 효과를 낸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운동 참여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2) 환경 행동
계획된 행동 이론은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캠페인 설계에 활용되고 있다. 재활용 장려 캠페인은 재활용이 환경 보호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강조하여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또한, 재활용의 사회적 규범을 형성하기 위해 사회적 동조를 유도하며, 이는 주관적 규범을 강화한다. 예를 들어, 주변 사람들이 재활용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재활용 행동을 장려한다. 나아가, 재활용 인프라를 개선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지각된 행동 통제를 강화하여 행동 수행 가능성을 높인다.
또 다른 응용 예는 대중교통 이용 증가를 목표로 한 프로그램이다. 자동차 사용 감소와 대중교통 이용의 장점을 강조하여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환경 보호와 교통 혼잡 해소에 기여하는 대중교통의 이점을 알린다. 이와 함께, 사회적 동조를 유도하여 주관적 규범을 강화하며, 대중교통 이용을 더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노선 확대, 시간표 개선 등의 인프라 개선을 통해 지각된 행동 통제를 높인다. 이러한 접근은 개인이 대중교통 이용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유도하며,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돕는다.
(3) 소비자 행동
계획된 행동 이론은 소비자 행동 연구와 마케팅 전략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친환경 제품 구매를 촉진하기 위한 캠페인은 소비자들에게 환경 친화적 제품 구매의 중요성과 이점을 강조하여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캠페인은 환경 보호를 지지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관적 규범을 강화하며, 주변 사람들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구매 의도를 강화한다.
또한, 친환경 제품 구매의 지각된 행동 통제를 높이기 위해 가격 장벽을 낮추고 접근성을 개선하는 방안이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할인을 제공하거나 구매처를 늘리는 방식은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를 더 용이하게 느끼도록 돕는다. 이러한 접근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행동 의도를 높이고, 실제 구매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5. 계획된 행동 이론의 장점과 한계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행동 예측과 설명에 있어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며, 다양한 학문적 및 실천적 영역에서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이론은 여전히 몇 가지 한계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 장점
(1) 행동 예측의 체계성
계획된 행동 이론은 행동 의도를 형성하는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한다는 점에서 높은 체계성을 가진다. 이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단순한 인과관계를 넘어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설명할 수 있도록 돕는다. 태도(Attitude),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지각된 행동 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라는 세 가지 핵심 변수를 통해 행동 의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간 행동의 예측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러한 체계성은 다양한 행동 과학 연구에서 이론의 실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2) 실용적 적용 가능성
계획된 행동 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행동 변화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이론이다. 건강 행동(예: 금연, 운동), 환경 행동(예: 재활용, 에너지 절약), 소비자 행동(예: 친환경 제품 구매) 등에서 이론을 기반으로 한 개입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설계되고 실행된 사례가 많다. 특히, 행동 의도 형성을 목표로 하는 캠페인이나 정책에서 계획된 행동 이론은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처럼 이론의 실용성은 학문적 연구를 넘어 정책 개발과 실천적 활동에도 기여하고 있다.
(3) 다양한 변수 고려
계획된 행동 이론은 **개인의 태도뿐만 아니라 사회적 영향(주관적 규범)**과 **실행 가능성(지각된 행동 통제)**을 모두 포함하여 인간 행동을 분석한다. 이는 개인적 요인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 이론들과 달리, 사회적 맥락과 환경적 요인까지 통합적으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예를 들어, 특정 행동을 수행하려는 개인의 의지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기대나 환경적 제약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인간 행동을 보다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기여한다.
2. 한계
(1) 행동-의도 간 간극
계획된 행동 이론의 주요 한계 중 하나는 행동 의도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행동 의도는 행동의 중요한 선행 요인이지만, 모든 의도가 행동으로 실현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금연 의지가 강한 사람이 흡연 유혹에 직면했을 때, 행동 의도가 실제 금연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행동-의도 간 간극은 개인의 상황적 제약(예: 시간, 자원)이나 예상치 못한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계획된 행동 이론은 행동 의도가 행동으로 실현되지 않는 사례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2) 감정적 요소의 부족
계획된 행동 이론은 감정, 충동, 직관과 같은 비합리적 요인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이 이론은 인간 행동을 주로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과정으로 간주하며, 행동 의도 형성을 논리적 신념과 평가에 기반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인간의 행동은 종종 비합리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충동적 구매나 갑작스러운 감정 변화로 인한 행동은 계획된 행동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는 감정적 요인을 강조하는 다른 이론들과 비교했을 때, 계획된 행동 이론의 적용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3) 외부 요인의 과소평가
계획된 행동 이론은 환경적 제약이나 문화적 요소와 같은 외부 요인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예를 들어, 행동 수행에 필요한 자원이나 기회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행동 의도가 형성되더라도 행동이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이러한 외부적 제약을 설명하는 데 있어 한계를 보인다. 특히, 개인의 문화적 배경이나 사회적 불평등과 같은 구조적 요인이 행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취약하다. 이러한 점에서 계획된 행동 이론은 환경적 요인을 보다 정교하게 통합할 필요가 있다.
6. 이론의 학문적 의의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인간 행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 중요한 틀을 제공하며, 행동 과학 분야에서 학문적 기여도가 높은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 이론은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맥락을 통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단순한 행동 설명을 넘어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이해할 수 있는 실질적 도구를 제시한다. 이러한 특성은 심리학, 사회학, 경영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계획된 행동 이론이 폭넓게 활용되는 이유가 된다.
1. 인간 행동 분석의 체계적 접근
계획된 행동 이론은 행동 의도를 형성하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라는 세 가지 핵심 요인을 통해 행동을 예측하는 체계적 모델을 제공한다. 이는 단일 요인에 의존하던 기존의 행동 이론과 달리,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이 이론은 인간 행동이 단순히 개인적 신념의 결과물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과 환경적 조건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인간 행동을 예측하고 변화시키는 데 있어 실질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2. 학문적 응용 범위의 확장
계획된 행동 이론은 심리학, 사회학, 경영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며, 학문적 응용 범위를 확장시켰다. 심리학에서는 건강 행동(예: 금연, 운동)과 같은 개인적 행동 변화 연구에 활용되며, 사회학에서는 환경 행동(예: 재활용, 대중교통 이용)과 같은 집단적 행동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경영학에서는 소비자 행동(예: 브랜드 충성도, 친환경 제품 구매)을 설명하는 데 있어 계획된 행동 이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학문 간의 연결성과 융합 가능성은 계획된 행동 이론이 다학제적 연구의 기초 이론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
3. 인간 행동 이해의 통합적 틀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단순화하면서도 다양한 변수를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인간 행동은 심리적 신념, 사회적 압력,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는 행동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다.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이러한 다중 요인을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행동의 기저에 깔린 심리적, 사회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한다. 특히, 이 이론은 행동 의도를 중심으로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여,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한다.
4. 실질적 문제 해결의 틀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이론적 기여를 넘어, 현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 접근법을 제공한다. 건강 증진, 환경 보호, 소비자 행동 변화 등 다양한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정책 설계에 계획된 행동 이론이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금연 캠페인에서는 금연 의도를 강화하기 위해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사회적 지지를 강조하며, 환경 행동 촉진 캠페인에서는 재활용이나 대중교통 이용과 같은 행동의 지각된 통제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론을 응용한다. 이러한 실질적 응용 사례는 계획된 행동 이론이 이론적 틀을 넘어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5. 학문적 및 실천적 의의
계획된 행동 이론은 개인의 심리적 신념과 사회적 맥락을 균형 있게 고려함으로써, 인간 행동의 이해와 변화에 있어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는 학문적 관점에서 인간 행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행동 변화 프로그램 설계와 정책 수립과 같은 실천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한다. 계획된 행동 이론을 기반으로 다양한 현실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학문적 및 실천적 관점에서 중요한 과제로 평가된다.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인간 행동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 학문적, 실천적 의의를 동시에 지닌다. 이 이론은 행동 과학 분야에서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행동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과 실질적 문제 해결 능력은 계획된 행동 이론이 학문적 발전뿐 아니라, 사회적 기여를 하는 데 있어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도 계획된 행동 이론은 인간 행동 연구와 실천적 문제 해결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 자료
곽형석(2012). 이익충돌 시나리오상황에서 공무원의 비윤리적 행동 가능성에 관 한 연구: 계획적 행동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정자(2007). 계획적 행동이론에 의한 실버타운 잠재고객의 구매의도 결정요 인.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진연(2016). 성직자의 노후생애설계행동에 관한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 용하여 목회자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고은교․신수경(2017).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예비보육교사의 취업준비행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322-333.
손영곤ㆍ이병관(2010). 유아의 구강건강 실천행동 의도의 사회인지적 예측변인에 대한 탐구: 건강신념모델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2(1), 84-112.
윤설민·신창열·이충기(2014).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자원봉사자의 행동의도 분석. 『관광학연구』, 38(5), 253-276.
Ajzen, I., & Fishbein, M.(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Cliffs, NJ: Prentice Hall.
Ajzen, I.(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 J. Beckham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11-39, Heidelberg: Springer. Ajzen, I. & Madden. T.(1986).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5), 453-474.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Organizational Behaviou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
Ajzen, I., & Driver, B. L.(1992).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leisure choi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4(3), 207-224.
Ajzen, I.(200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2(4), 665-683.
Bandura, A.(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Costello, T. W., & Zalkind, S. S.(1963). Psychology in Administration. Englewood Cliffs, NJ: Pre; tice-Hall.
Schifter, D.B., & Ajzen, l.(1985). Intention, perceived control, and weight los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843-851.
Spiegler, M. D., & Guevremont, D. C.(2003). Contemporary behavior therapy.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Terry, D. J., & O’Leary, J. E. (1995).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he effects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elf-efficacy.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4(2), 199-220.
'행정학 >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개념 분석 : 보수주의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2) | 2024.12.11 |
---|---|
정의를 다시 정의하다: 낸시 프레이저의 삼차원 정의론 (1) | 2024.11.27 |
기업도 도로 위의 젊은이도, 치킨 게임의 본질은 무엇일까? (1) | 2024.11.27 |
돈보다 중요한 것: GDP를 대체하는 행복지수(HPI: Happy Planet Index) (3) | 2024.11.25 |
헤겔과 마르크스: 철학의 대립이 역사를 만든다 (1)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