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세계는 전자상거래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의 성공은 단순히 인터넷의 발달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상거래의 핵심은 바로 데이터이다. 데이터는 상품의 특성, 가격, 재고, 배송, 품질 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구매자와 판매자가 거래를 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의 정확성, 신뢰성, 효율성이 전자상거래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전세계의 다양한 기업들이 각자의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의 데이터는 서로 다른 형식, 구조, 표준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불일치, 중복, 오류 등이 발생하고, 이는 전자상거래의 효율성과 품질을 저하시킨다. 예를 들어, 한국의 소매상이 미국의 생산자로부터 머그잔을 구매하려고 한다고 가정하자. 이 소매상은 미국의 생산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머그잔의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을 하려고 한다. 그러나 미국의 생산자는 머그잔의 크기를 인치로 표시하고 있으며, 색상을 RGB 코드로 표시하고 있으며, 재고를 일주일 단위로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차이는 소매상이 원하는 머그잔을 정확하게 찾고, 비교하고, 주문하고, 배송받기 어렵게 만든다. 또한, 생산자의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소매상이 주문한 머그잔이 실제로 재고가 없거나, 가격이 변동되었거나, 품질이 떨어졌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GDS(Global Data Synchronization)이다. GDS란 전세계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표준에 따라 동기화하는 것을 말한다. GDS를 통해 구매자와 판매자는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검증하고,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전자상거래의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신뢰성과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GDS 구현과정
- 데이터 표준화: GDS를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데이터의 표준화란 데이터의 형식, 구조, 내용, 품질 등을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의 표준화를 통해 데이터의 호환성과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데이터의 표준화를 위해 EAN/UCC 표준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EAN/UCC 표준은 상품의 식별, 분류, 특성, 가격, 재고 등을 정의하는 표준으로서, 바코드, RFID, XML 등의 기술과 연계되어 있다. EAN/UCC 표준은 전세계의 100여 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GDS의 기반을 제공한다.
- 데이터 풀(Data Pool): 데이터 풀이란 데이터의 표준화를 적용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데이터 풀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데이터를 공유하고, 검증하고, 갱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데이터 풀은 각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며, 예를 들어 미국의 UCCNet, 유럽의 SINFOS, 한국의 KMDP 등이 있다. 데이터 풀은 각자의 참여자와 요구사항에 맞추어 운영되며, 데이터의 품질과 보안을 관리한다.
- 글로벌 레지스트리(Global Registry): 글로벌 레지스트리란 데이터 풀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중앙 집중식 디렉토리를 말한다. 글로벌 레지스트리는 각 데이터 풀의 정보와 상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조회하고, 매칭하고, 라우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글로벌 레지스트리는 전세계의 모든 데이터 풀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하며, GDS의 핵심 요소이다. 글로벌 레지스트리는 현재 EAN International과 UCC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 데이터 동기화(Data Synchronization): 데이터 동기화란 데이터 풀간의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동기화는 글로벌 레지스트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데이터 동기화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 구매자가 글로벌 레지스트리에 원하는 상품의 정보를 요청한다.
- 글로벌 레지스트리는 해당 상품의 정보를 가진 데이터 풀의 정보를 구매자에게 알려준다.
- 구매자는 해당 데이터 풀에 접속하여 상품의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을 한다.
- 판매자는 주문을 받고, 상품의 정보를 갱신하고, 배송을 한다.
- 구매자와 판매자는 상품의 정보를 동기화하고, 거래를 완료한다.
GDS는 전자상거래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이다. GDS를 통해 구매자와 판매자는 전세계의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거래할 수 있게 된다. GDS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품질과 신뢰성을 높이고, 만족도와 충성도를 증가시킨다. GDS는 또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회를 창출하고, 경쟁력과 혁신력을 강화하한다. GDS는 전자상거래의 미래를 열어가는 핵심 기술이다.
GDS의 현황과 전망
GDS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GDS의 선도적인 국가는 미국과 유럽이다. 미국의 UCCNet은 2000년에 설립되어 20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유럽의 SINFOS는 2001년에 설립되어 10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각자의 지역 내의 데이터 풀을 동기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레지스트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들은 GDS의 확산을 위해 다른 국가나 지역의 데이터 풀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UCCNet은 일본의 ECR Japan, 중국의 CCN, 호주의 EAN Australia 등과 협력하고 있으며, SINFOS는 브라질의 GS1 Brazil, 인도의 GS1 India, 싱가포르의 GS1 Singapore 등과 협력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GDS에 대한 관심과 준비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KMDP(Korea Master Data Pool)는 2002년에 설립되어 5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EAN/UCC 표준에 따라 데이터 풀을 운영하고 있다. KMDP는 글로벌 레지스트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UCCNet과 SINFOS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또한, KMDP는 아시아 지역의 데이터 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KMDP는 일본의 ECR Japan, 중국의 CCN, 대만의 GS1 Taiwan, 태국의 GS1 Thailand 등과 협력하고 있다.
GDS는 전자상거래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이다. GDS를 통해 구매자와 판매자는 전세계의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거래할 수 있게 된다. GDS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품질과 신뢰성을 높이고, 만족도와 충성도를 증가시킨다. GDS는 또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회를 창출하고, 경쟁력과 혁신력을 강화한다. GDS는 전자상거래의 미래를 열어가는 핵심 기술이다.
영국 정부의 공공 디지털 전환
공공 디지털 서비스 분야에서는 GDS(Government Digital Service)라는 조직이 영국 정부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의 디지털 전환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공공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하고, 공무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품질과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GDS(Government Digital Service)라는 조직을 통해 디지털 전환의 거버넌스와 실행을 담당하고 있으며, GOV.UK, GOV.UK Design System, GOV.UK Notify, GOV.UK Pay, GOV.UK PaaS, GOV.UK Verify, GDS Academy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와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CDDO(Central Digital and Data Office)라는 조직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과 표준을 제정하고,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2022년부터 2025년까지 디지털 및 데이터를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였으며, 21가지의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 공공부문을 위한 디지털 전환 로드맵 공개..."구체적인 관리 체계로 실효성 확보"
영국 정부가 공공부문의 디지털 서비스를 새롭게 혁신하기 위한 디지털 및 데이터 전략안을 공개했다. 이번 전략안은 21가지의 구체적인 목표를 포함
www.itworld.co.kr
영국 정부의 디지털 콘트롤 타워 'GDS' -
세 차례 칼럼을 통해 '플랫폼으로서의 정부'(GaaP: Government as a Platform) 개념 및 속성, 그리고 실행전략을 소개했다. 앞서 소개한 내용은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라기보다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정부가
slownews.kr
GDS를 사용하고 있는 기업
GDS는 글로벌 데이터 동기화를 의미하는 용어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GD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공 디지털 서비스 분야에서는 GDS(Government Digital Service)라는 조직이 영국 정부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GDS는 영국 내각부 산하의 조직으로 영국 정부 포털을 비롯한 모든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거버넌스 실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GDS는 GOV.UK, GOV.UK Design System, GOV.UK Notify, GOV.UK Pay, GOV.UK PaaS, GOV.UK Verify, GDS Academy 등 다양한 서비스와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진단 솔루션 분야에서는 GDS(Global Diagnostic System)라는 용어로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공식 진단 솔루션을 말합니다. GDS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통신하여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고, 코딩, 프로그래밍, 키 등록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GDS는 GDS N, GDS-M, GDS-Smart, KDS 2.0 등의 버전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GDS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GDS 파일을 사용하여 반도체 설계 자동화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GDS 파일은 반도체의 물리적인 형상을 표현하는 표준 파일 형식으로, 다른 설계 도구와 호환되도록 합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GDS 파일을 통해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를 설계하고, 검증하고, 제조하고 있습니다.
- GDS를 통해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커넥티드 카 서비스란 차량과 스마트폰, 클라우드, 인프라 등을 연결하여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블루링크, 커넥트,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등의 브랜드로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상태, 위치, 원격 제어, 긴급 구조, 네비게이션, 엔터테인먼트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글로벌 가입자는 1,0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 GDS를 통해 디지털 키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키란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의 문을 열고, 시동을 걸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삼성과 애플의 비접촉식 디지털 키 기술을 도입하여, 서로 다른 운영체제의 스마트폰 간에도 디지털 키를 공유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는 차량의 공유와 대여를 용이하게 하며, 차량의 보안과 편의성을 높입니다.
'행정학 > 정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민 직접 참여 시스템의 이해: 전자 민주주의와 현대 행정의 변화 (2) | 2024.11.10 |
---|---|
대한민국 대통령 임기, 개헌 필요성과 논란: 배경과 전망 (1) | 2024.11.04 |
대한민국 정부 구조 - 중앙행정조직 (1) | 2024.08.22 |
온디바이스 AI의 혁신과 미래: 반도체 업계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2) | 2024.01.11 |
전자정부의 개념적 이해 (4)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