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반응형

사회학이란 인간의 사회적 행위, 사회관계에 따른 상호작용, 집단 및 사회 구조와 변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사람이 어떻게 사는지, 왜 그렇게 사는지를 사회와 연관시켜서 설명하는 학문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회학의 중심과제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구조적 특징과 개개인의 사회적 행위 유형의 특징 및 사회구조의 변화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회학의 관심 분야

사회학은 기본적으로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행위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특수하거나 불규칙한 행위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행위유형과 사회 현상에 주목합니다. 

 

사회적 상상력(Sociological imagination) Mills,1959

개개인의 일상적 활동(행위)과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의 보다 큰 사회적 힘(social forces)의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

 

사회학에서의 미시적 수준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과 직접 상호작용을 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구체적 행위

사회학에서의 거시적 수준

보다 크고 쉽게 감지할 수 없으나 미시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과정(social processes)과 사회구조(social structure)

예) 정치제도, 경제제도, 문화 및 대규모 수준의 사회적 

 

사회학의 주요 이론

대표이론 개요 주요연구자
실증주의(positivism) 19세기 후반 서유럽에서 나타난 철학적 경향으로 감각 경험과 실증적 검증에 기반을 둔 것만이 지식이라고 보는 인식론적 관점이자 과학 철학. mile Durkheim, Auguste Comte, Max Weber
반실증주의(anti-positivism) 사회과학에서 이용되는 과학적 조사방법으로는 사회영역을 연구 할수 없으며 사회영역에대한 연구는 다른 인식론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제안하는 이론적 입장으로, 실증주의와 대립하는 모든 견해. Max Scheler, George Simmel, Peter L. Berger
기능주의(기능론, Functionalism)  사회구성요소들이 상호 의존적 관계에서 사회 전체의 유지와 통합에 기여한다고 보면서 사회 문화 현상을 구성요소간의 기능적 관계로 파악하는 관점.
사회의 안정과 균형을 강조하고 있으며, 기존 질서나 권력 관계의 유지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면서 사회적 변동을 소홀히 할 우려가 있음.
Émile Durkheim, Talcott Parsons, Robert K. Merton
갈등이론(Conflict theory) 사회는 개인과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대립과 경쟁, 갈등과 변화이 관계에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으로, 사회 현상을 조화와 합의보다 갈등봐 분열로 설명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보는 이론.
대표적 이론: 마르크스주의적 갈등이론, 베버적 갈등이론 
Karl Marx, Max Weber, Lewis Coser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sim) 사회적 현상이나 의식이 사회속에서 사회구성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해되고 만들어지며 발전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이 이론은 사회적 개념이나 의미등은 개인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사람과의 협력적 합의에 의해서 만들어진다는 것에 주목.  Peter L. Berger, Thomas Luckmann, Michael Foucault
구조주의(structuralisme) 어떤 사물의 의미는 다른 사물들과의 관계에 따라 규정된다는 인식을 전제로 하여, 개인의 행위나 인식등을 궁극적으로 규정하는 총체적인 구조와 체계에 대한 탐구를 지향한 현대 철학사상의 경향.
20세기 중반이후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학문에 영향을 미친 사상적 흐름.
구조주의에서는 요소들간의 상호 관계를 바탕으로 
정신적·언어적·문화적·사회적 '구조'가 생성되며, 그 구조에서 인간이나 사물, 문화에 대한 진정한 의미가 발생한다고 주장. 
Claude Lévi-Strauss, Pierre Bourdieu, André Leroi-Gourhan)
상징적 상호작용주의(Symbolic Interactionism) 상징을 매개로하여 사회구성원간의 상호작용에 주로 관심을 가지고 사회문화현상을 이해하는 이론.
사회문화 현상을 미시적 관점에서보는 대표적인 이론
George H. Mead, Herbert. Blumer, Charles Cooley, W. I. Thomas
비판이론(Critical theory)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사회적 변혁과 해방에 관한 이론으로 사회의 권력과 억압, 사회적 불평등과 사회 정의, 권력 감독, 이념의 역할 등을 탐구하며 사회의 변화와 해방을 추구. Max Horkheimer, Theodor Adorno, Jürgen Habermas
구조와 행위주체 (Structure and Agency)
사회적 결과의 두 주요 결정인자는 구조와 행위주체라고 할수 있는데 이 둘사이의 관계에 대한 입장에 따른 이론. 
1. 사회생활이 주로 사회구조에서 결정되며, 개인의 행위는 대부분 구조의 결과로 설명될 수있다고 보는 이론
2. 자신의 세계를 구성하고 재구성하는 개인의 능력과 행위자의 측면에서 설명해야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이론
3. 1,2의 보완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사회구조를 변하시킬수 있는 행위 주체와 인간의 행위에 관한 구조의 영향을 모두 강조하는 접근방법
Antony Giddens, Pierre Bourdieu,Margaret Archer
행위자 연결망이론 (Actor-Network Theory, ANT) 세계의 모든 존재는 그것이 사회적이든 자연적이든 지속적으로변화하는 상호관계속에서 존재한다는 이론적 접근법.
모든 논쟁은 이질적인 '인간 및 비인간'행위자들이 서로의 이해관계를 교섭하고 협상하면서 하나의 연결망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이라고 보는 이론
Bruno Latour, John Law, Michel callon

기능론과 갈등론의 비교

기능론 갈등론
사회는 지속적이고 안정된 요소들이 구조이다 모든 사회는 항상 변화한다
모든 사회는 부분 요소들이 통합된 구조이다.  사회는 언제나 불합의와 갈등을 나타낸다.
사회구조는 동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  모든 사회는 강제에 바탕을 두고 있다.
사회의 모든 구성요소는 어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회가 체계로 유지되는데 기여한다.  사회의 모든 부분 요소는 사회의 와해와 변동에 기여한다. 

 

 

사회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회학 연구대상의 특징, 주요 관심분야, 주요 사회학 이론에 대한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이해하고,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해 왔고, 앞으로도 연구되고 탐구될 것입니다. 다양한 이론들의 발전을 통해 우리는 사회 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사회 변화를 이끌어 내고,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

'행정학 >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사대주의와 문화 제국주의  (3) 2023.08.16
문화와 자문화 중심주의  (5) 2023.08.15
구조기능주의, 구조기능론  (4) 2023.08.06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유형  (4) 2023.07.22
사회학, 사회과학의 차이  (18) 2023.07.02
profile

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미소 지기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