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저출산 고령화가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고령화의 원인을 전문가들은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출산율과 사망률 저하에 있다고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것 같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의료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이 길어짐과 함께, 경제적 성장에 따른 부유함도 원인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뉴스를 통해 자주 볼 수 있는 인구통계지표 중에서 고령화 지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령대별 인구구조
연령대별 인구구조는 총인구를 10세별로 나눈 비중을 나타냅니다. 대한민국은 저출산과 고령화로 생산연령 인구 감소와 고령 인구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 및 정책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2024년 10대 미만. 6.21%, 10대 8.79
연령계층별 인구구조
연령계층별 인구구조는 연령계층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고령인구로 나눈 비중을 나타냅니다.
2024년 현재 생산연령 인구는 전체 인구의 70.2%(36,327,585명)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9.2%(9,435,816명) 유소년 인구는 10.6%(5,485,245명)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유소년 인구: 14세 이하
- ■ 생산연령인구: 15~64세
- ■ 고령인구: 65세 이상
고령인구
고령인구는 65세 이상 인구입니다. (추계인구 기준) 고령화와 함께 이야기 되는데 고령자의 수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고령화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7%가 넘어가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을 초고령사회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은 현재 저출산과 기대수명 연장으로 인해 고령인구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잇으며 2050년경에는 4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위 연령
중위연령은 총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해당 연령을 말합니다.이 지표는 인구의 연령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현재 대한민국의 중위연령은 2020년 43.7세, 2031년경에는 50세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평균 연령
평균연령은 전체 인구의 연령을 합한후, 전체 인구수로 나누어 계산한 값입니다 2024년 현재 대한민국의 평균 연령은 46.1세입니다. 평균 연령은 모든 연령을 평균적으로 나타내는 반면, 중위연령은 중간값으로서 극단적인 연령 값들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기대수명
기대수명이란 특정 연도의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래 살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연령별 사망률 통계를 바탕으로 산출합니다.
2024 대한민국의 평균 기대 수명은 84.3(남:81.4, 여:87.1)이며 빠른 경제 성장과 의료 기술 발달로 인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 평균 보다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기대수명이 증가함으로써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는 것은 축복이고 행복한 삶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수명 연장은 초고령사회를 초래하여 큰 문제를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다양한 정책적 대응을 준비해야 합니다.
노령화지수
노령화지수는 유소년인구(14세 이하)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율을 의미하며, 인구구조의 고령화 정도를 파악하는 지수로 노령화가 진행되면 증가하게 됩니다.
대한민국의 노령화지수는 24.46%로 세계 평균치인 19.1%를 상회하여 노령화사회로 접어들었습니다. 2005년에 47.3%, 2010년에 67.7%, 2023년에 165.4%를 기록하고 있으며, 2070년 경에는 741.8%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노령화지수는 인구 구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사회 및 정책적 대응을 위해 중요한 지표입니다.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정책과 사회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노령화 지수 = (65세 이상 인구 / 0~14세 인구 ) × 100
고령인구 비중
고령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중을 의미하고, 초고령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 중 초고령인구(80세 이상)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대한민국은 2025년에 고령인구 20.34%를 기록하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령가구
고령가구는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를 말합니다. 고령가구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돌봄과 지원을 제공하면서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합니다. 대한민국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가구의 비중도 증가되고 잇습니다. 본인과 가족의 건강, 경제적 안정, 사회적 참여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독거노인가구
독거노인가구는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1인가구를 말합니다. 이들은 가족과 함께 사는 가구가 아니기 때문에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회적 배려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노인복지생활시설 입소정원
노인복지생활시설 입소정원이란 노인복지법 제31조(시설의 종류)에 의해 시·군·구청에 노인복지시설로 설치·신고된 시설의 입소 가능 정원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노인복지생활시설은 노인들이 함께 생활하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설로 노인주고복지 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 복지시설, 재가 노인복짓시설, 노인보호 전문기관, 노인일자리지원기관 등이 있습니다.
소멸위험지수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입니다. 수치가 낮을수록 소멸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매우 낮음 또는 안정 | 보통 | 주의 | 위험진입 | 고위험 |
1.5이상 | 1.0~1.5 | 0.5~1.0 | 0.2~0.5 | 0.2미만 |
수치가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단계로 보며, 대한민국의 경우 2024년 0.6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2030년경에 소멸 위험 단계로 진입할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해당 지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지역 간 산업 구조에 따른 양극화, 지방소멸과 이에 따른 지역의 대안적 일자리 전략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한 지표입니다.
2024.03.01 - [행정학/사회학] - 인구통계- 출생 사망 지표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
2024.02.29 - [행정학/사회학] - 인구통계 - 출산율 지표에서 자주쓰는 용어들
'행정학 >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통계- 인구 지표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 (0) | 2024.03.02 |
---|---|
인구통계- 다문화 지표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 (1) | 2024.03.02 |
인구통계- 출생 사망 지표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 (0) | 2024.03.01 |
인구통계 - 출산율 지표에서 자주쓰는 용어들 (0) | 2024.02.29 |
인권이란 무엇인가? (3)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