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통계를 보다 보면 출산, 노령화, 다문화, 복지, 인구동향, 경제활동 등 다양한 지들을 보게 됩니다. 이 중에서 인구동향과 밀도 등 인구지표에서 사용하는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출산, 고령화, 출생 사망과 관련된 지표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들은 다음 게시물에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총인구(추계기준)
인구는 특정 지역의 거주자(resident populat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한민국의 총인구는 특정 시점 (보통 7월 1일 0시 기준)에 국내에 상주하고 있는 인구의 전체 수치를 나타냅니다. 이는 출생, 사망, 국제 이동 등의 인구 변동 요인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총인구는 국가나 지역의 인구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대한민국의 총인구는 2024년 7월 1일 기준으로 약 51,751,065 명입니다.
인구는 특정 지역의 거주자(resident populat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구 변동은 출생률, 사망률, 이민, 이주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를 통해 국가의 인구 구조와 동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총인구는 정책 수립과 사회 발전을 위해 중요한 정보로 활용됩니다.
※ 추계인구
향후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이동) 별 가정에 따라 추계한 장래인구 규모와 연령별 구조에 대한 추정치를 의미합니다.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기초로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을 반영하여 매년 7월 1일 현재로 코호트요인법을 이용하여 추계한 인구로, 추계인구는 기준일이 7월 1일 연앙(年央) 인구로, 과거인구에 대한 확정인구(Population Estimates)와 향후 인구변동(출생, 사망, 국제이동)을 고려하여 작성된 장래추계인구(Population Projections)로 구분합니다.
총 가구(추계기준)
가구는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 하는 생활단위를 의미합니다.
추계가구는 일반가구만을 대상으로 하며, 일반가구란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이 함께 사는 가구, 1인 가구,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사는 5인 이하의 가구를 의미합니다.
총가구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구의 양적, 구성적 변화를 추정하여, 미래의 가족 형성과 해체 양상에 대비하고 노인, 여성, 아동 등 정부의 가족 복지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합니다.
가구원수별 가구(2024)
가구원수별 가구 비중은 총가구를 가구원수별로 나눈 비중을 나타냅니다. 가구원수별 가구 수치를 이용하여 가구의 양적, 구성적 변화를 추정하여, 미래의 가족 형성과 해체 양상에 대비하고 노인, 여성, 아동 등 정부의 가족 복지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합니다.
인구 성장률(Population Growth Rate)
인구성장률은 전년 대비 추계인구의 증감률입니다. 즉 출생 사망에 의한 자연증가율과 인구 이동에 의한 사회적 증가율의 합으로 특정시점에서 비교되는 시점까지의 증가율입니다.
두 시점 간 연평균 인구증가율: ln(Pt/P0)/t * 100
인구변동요인 : 인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구성요소로 출생(Births), 사망(Deaths), 국제이동(International Migration)
인구 밀도
인구밀도는 일정지역 내의 인구를 해당 지역의 면적(1㎢)으로 나눈 수치로서 지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의 과밀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인구 밀도 = 인구수 / 총면적
도시지역 인구비율
도시지역이란 용도지역 상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을 의미합니다.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국토의 도시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국내인구이동자수
국내인구이동은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변경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행정학 >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구와 가족 통계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 (1) | 2024.03.03 |
---|---|
인구통계 - 결혼,혼인 지표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 (0) | 2024.03.03 |
인구통계- 다문화 지표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 (1) | 2024.03.02 |
인구통계- 고령화 지표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 (0) | 2024.03.02 |
인구통계- 출생 사망 지표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 (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