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객관화(self-objectification)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평가하는 것은 삶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입니다. 자기 객관화나 자기 대상화의 개념은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여성들에게서 많이 보이는 현상중의 하나이기도 하고, 성공하는 여성들에게서 많이 보이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자기 객관화와 자기 대상화라는 개념은 종종 혼동을 가져오게 되는데, 영문으로 표현하면 Self-Objectification으로 동일하게 표현하기도 하지만 인지, 심리, 행동, 평가 등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기 객관화란
일반적으로 자기 객관화란 객관적인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의 내면과 외면을 있는 그대로 편견 없이 관찰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말하며, 감정, 생각, 행동 등을 분석적으로 파악하여 스스로를 성찰하게 되는데, 현실을 파악하고 적응하는 것은 사회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 잘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능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기 대상화란
자기 대상화는 대상화이론(Objectification theory)에 근거한 용어로 외부의 시선에 따라 자신을 바라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 타인의 눈으로 자신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것과 같은데, 사회적 기준이나 미디어 이미지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가치를 측정하게 됩니다.
자기객관화라는 용어는 자기 대상화 이론에서 추론된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오히려 자기 대상화보다는 자기 객관화라는 용어가 일상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기 객관화와 자기 대상화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자기 객관화와 자기 대상화를 생각해보면 모두 자신을 인식하는 방식이지만,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 마다 이론의 차이는 있을수 있지만 단순히 자기 객관화와 자기 대상화의 차이를 생각해 본다면
- 자기 대상화: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일까?"
- 자기 객관화: "나는 누구이며,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라고 생각해 볼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회적 기준에서 살펴보면
자기 객관화
자기 객관화는 내적 기준과 객관적 기준을 함께 사용하여 자신을 평가합니다.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개인의 가치관과 목표에 따라 스스로를 평가합니다. 그리고 객관적인 정보와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파악하려 노력하게 됩니다. 긍정적으로 보면 건강한 자존감과 명확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방식입니다.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장과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기때문에, 객관적인 사고방식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은 대인관계, 학업, 커리어 등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자기 대상화
자기 대상화는 주로 외부 기준에 따라 자신을 평가합니다. 사회적 규범, 타인의 평가, 이상적인 이미지 등을 기준으로 자신의 가치를 판단하며, 이에 부합하지 못한다고 느끼면 부끄러움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자존감 저하와 정체성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끊임없이 외부 평가에 부응하려 노력하기 때문에,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긍정적이 아닌 부정적인 자기 인식의 결과를 가져오게 되면 우울감, 불안, 스트레스 등의 정신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있나요?
자기 객관화 또는 대상화는 주로 여성에게서 나타난다고 생각하는데 요인의 차이는 있지만 남성에게도 중요하게 여겨져야 합니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신체와 관련된 내용에서 자기 객관화 수치가 높게 나타나고, 가치관과 관련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자기 개발(향상)과 관련해서는 우선 순위를 높게 두고 있으며, 자기 초월감, 전통적 가치의 보존에 있어서는 여성이 더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Frontiers | Self-Objectification and Personal Values. An Exploratory Study
Self-objectification occurs when individuals treat themselves as objects to be viewed and evaluated based upon appearance. Literature has largely elucidated ...
www.frontiersin.org
성공적인 자기 객관화 사례
오프라 윈프리(Oprah Winfrey)
오프라 윈프리는 자기 객관화를 통해 자신의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한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그녀는 자신의 과거와 약점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은 명언을 남겼습니다:
"Turn your wounds into wisdom."
"상처를 지혜로 바꿔라."
미셸 오바마(Michelle Obama)
미셸 오바마 역시 자기 객관화를 통해 자신을 성장시킨 인물입니다. 그녀는 자신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자신감을 키웠습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Success is only meaningful and enjoyable if it feels like your own."
"성공은 그것이 나의 것이라고 느낄 때만 의미 있고 즐겁다."
균형잡힌 시각
자기 대상화와 자기 객관화는 모두 자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부 시선에 지나치게 휘둘리지 않고,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 형성: 자신의 신체를 기능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외모보다 건강과 행복에 중점을 둡니다.
- 비교를 피하라: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를 줄이고, 자신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합니다.
- 미디어 소비 습관 개선: 현실적이지 않은 신체 이미지를 강조하는 미디어 소비를 줄입니다.
- 자기 수용: 자신의 약점과 불완전함을 받아들이고, 이를 성장의 기회로 삼습니다.
인간은 신체적 외모, 경제적 지위 또는 정치적 견해 등으로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거나 아니면 다른 방식을 통해 스스로를 평가하고, 객관화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그들의 인간성을 하나의 특성으로 축소 시킬수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러한 인식을 가져오게 될수 있습니다.
특히 미디어의 발달로 인터넷과 연결된 소셜 미디어는 우리가 신체적으로 자기 객관화 하도록 부추기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실은 그렇지 못한데 SNS에 나타나는 예쁘고 아름다운 사람들을 바라보게 되면 스스로에대해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경우처럼 소셜 미디어는 우리스스로를 자기 객관화 하도록 강요하곤 합니다.
우리 모두는 어떤 식으로든 눈에 띄기를 원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열심히 일하고, 더 일 잘하는 것처럼 보이고 싶어합니다. 이러한 것은 매우 정상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안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특별해 지고자 노력하면서 우리 자신을 하나의 특성으로 축소하고, 우리 자신을 기계의 톱니바퀴처럼 만들어 갈 수있습니다.
자기 객관화와 자기 대상화는 현대 사회에서 특히 여성들이 많이 경험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이를 잘 관리하고 극복한다면, 오히려 자신을 성장시키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통해 더 나은 삶을 만들어 가길 바랍니다.
'용어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곤갭 비율(Poverty Gap Ratio) (1) | 2024.07.08 |
---|---|
상대적 빈곤율 - 빈곤의 그림자, 우리 사회의 현주소와 나아갈 길 (1) | 2024.07.05 |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 (0) | 2024.05.31 |
감각, 지각, 인지, 인식의 개념 (1) | 2024.04.02 |
후생경제학 기본개념 (2)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