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사회적 자본은 Hanifan(1916)이 ‘부동산, 재산, 현금 등의 물질이 아닌 사회적 단위를 이루는 개인의 친목, 호의, 유대감, 상호공감 등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축적이 있을 것이라 언급하고, 이러한 사회자본이 공동체의 실질적인 개선을 가져올 것이라는 주장을 하면서 언급한 개념입니다. 

 

   ▷ 사회적 자본은 지역발전의 토대로서, 인적, 물적 자본 등과의 결합을 통해 더 큰 생산성을 발휘하거나 사회적 비용을 감소하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 자본에 가치에 주목해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많은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폭넓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란?

일반적으로 ‘사회적 자본’이란 일정 집단을 형성하는 사회구성원 간 공동의 이익을 위한 협력과 참여를 창출하는 무형자산을 의미하며, 사회의 협력과 거래를 촉진시키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연결망)로 사회적 자본을 개념화하고 있습니다.

 

OECD(2001)에서 이러한 여러 가지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단 내 혹은 집단 간 협력을 촉진하는 공유된 규범, 가치, 이해와 결합한 네트워크”라고 사회적 자본을 정의하고 있으며, 물적 자원이나 인적 자본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사회구성원의 공동문제해결을 위한 참여조건 또는 특성’ 혹은 ‘공동이익을 위한 상호 조정 과정과 협력을 촉진하는 사회적 조직의 특성’을 의미합니다.

 

사회적 자본의 정의는 접근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미시적 차원의 사회자본은 개인들 간에 나타나는 다양한 네트 워크에 기초하여 행동하는 데 필요한 자원(Coleman, 1988)
  • 거시적 차원의 사회자본은 사회구성원의 상호이익을 위한 조정과 협력을 촉진시키는 신뢰와 규범과 네트워크의 사회조직적 특성입니다.(Putnam, 1993).

지역발전은 지역 주민들과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이 필요한데, 사회적 자본은 이러한 지역사회의 참여 및 활동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가족, 친구, 이웃, 동료, 동아리, 학교, 지역사회, 종교단체 등의 관계와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되고 있습니다.

[ 사회적 자본의 정의 ]

  학자 정의
미시적 Bourdieu(1986) 지속적인 네트워크 혹은 상호 면식이나 인정이 제도화된 관계 즉 특정한 집단의 구성원이 됨으로서 획득되는 실제적 혹은 잠재적 자원들의 총합
Portes(1995) 네트워크 혹은 사회적 구조의 구성원이라는 혜택 때문에 희소한 자원을 지배하게 된 개인의 능력
Lin(2001) 시장에서의 이익을 기대한 투자로서 목적성을 띤 행동과정에서 이용되거나 동원되는 사회적 구조에 배태되어 있는 자원
중범위 Nahapiet & Ghosahl(1998) 개인 혹은 사회적 단위가 소유한 사회적 네트워크에 배태되어 있는 실체적 및 잠재적 자원의 총합
Leana & Van Buren(1999) 구성원들의 공동목표 지향 및 공유한 신뢰를 통하여 실현되는 조직 내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을 반영하는 자원
Oh, Chung & Labianca(2006) 집단의 사회적 구조, 조직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구조속에서 집단 구성원들의 사회적 관계들을 통해 집단에 유용한 자원들
거시적 Coleman(1998) 기능에 의해서 정의되며, 단일의 실체가 아닌 2가지 공통요소(사회구조의 특정방면, 개인과 집단의 행동을 촉진)을 포함한 다양한 실체
Putnam(1993) 상호이익을 위한 협동과 협력을 촉진시키는 네트워크, 규범 및 사회적 신뢰와 같은 사회적 특징
Fukuyama(1995) 둘 이상의 개인들 사이의 협력을 촉진하는 비공식적 규범
 

사회적 자본의 유형

한편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는 사회적 자본이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한 Coleman(1988)과 Putnam(1993b)에 의해,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요소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라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즉, 신뢰, 규범, 네트워크를 사회적 자본의 핵심요소로 보는 것입니다. 특히 Coleman(1988)은 사회적 자본을 정의 내리면서 신뢰가 사회적 자본의 핵심적 요소라고 정의하였습니다.

 

   1. 신뢰

신뢰는 개인이나 집단 간의 신뢰 관계에서 비롯되며 사회의 결속을 달성하고, 상호작용에서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협력을 촉진하는 사회적 자본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특히 Coleman(1988)은 사회적 자본을 정의 내리면서 신뢰가 사회적 자본의 핵심적 요소라고 정의하였고, Putnam(1993)도 신뢰는 사회적 자본의 핵심적인 요소이며 사회적 협력을 조장하는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뢰는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믿음을 의미합니다. (Putnam, 1993). 신뢰는 협력에 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공동체 내 신뢰의 수준 이 높으면 높을수록 협력의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신뢰를 사적인 관계에서의 신뢰, 낯선 이 와의 신뢰, 그리고 제도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고 있는데,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는 학자들마다 신뢰의 유형에대해 구분하는 방법은 다르지만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에서의 신뢰로 나누고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규범

규범은 개인이나 집단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 행동규범, 기대 등으로 구성됩니다. 사회적 자본에서의 규범은 대체적으로 호혜성의 규범(norm of generalized reciprocity)으로 간주되어 도덕적 의무감과 같이 여겨지는데, 지금 당장의 보답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언젠가는 보답이 돌아오기를 바라면서 타인을 위해 무언가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대가 체계적으로 사회적으로 구축되면서 호혜성이 구축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기서 호혜성이란 한정적이지 않고 포괄적이고 일반화된 호혜성(generalized trust)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다른 사회 행위자들 역시도 협력적인 행위에 응답하여 호혜적인 행위를 할 것이라는 믿음이 제도적으로 형성되면서 무임승차의 가능성을 낮춰주고 공익을 위해서 행동하도록,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3. 네트워크

네트워크 유형의 사회적 자본은 개인 또는 집단 간의 관계에서 비롯됩니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utnam(2001)은 사회 자본 이론 의 핵심을 사회적 네트워크로 보았는데, 한 개인에게 사회 네트워크가 물적, 인적 자본만큼이나 중요한 자본이 될 수 있으며, 시민적 품성이 상호 호혜적인 사회관계가 촘촘한 네트워크에 자리 잡았을 때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사람들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됩니다. 이러한 관계와 상호작용은 인적 자원을 형성하고, 경제, 정치, 사회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사회적 자본의 특성

1. 개인이 아닌 사회적 관계에서 파생되는 자본

   ▷사회활동에 시민들의 참여가 요구되며 선별적으로 교환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2.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의 지속적 공공재 성격을 가지며, 사용하면 할수록 많아지고, 사용하지 않으면 고갈되는 현상을 보인다.

   ▷사용하는 사람이 많고 신뢰 관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

3. 신뢰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 규범이 필요하므로 도덕적 자원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하지만 사회적 자본이 형성된 이후에는 관계한 모든 사람에게 긍정적 효과를 제공한다. (그 사회의 관습이나 문화의 영향에 따라 다르다)

   ▷선순환 또는 악순환하는 모순적인 성격을 지니며, 공식, 비공식적인 개인과 사회의 활동과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축적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지역사회와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의 지역사회 차원의 접근은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을 가져올 수 있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 문제 해결보다는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행복감을 높이는 과정이라고 봐야 한다.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자본이 축적되고 사회관계에서 기본적인 신뢰와 협동이 구축되면 주민들의 삶의 질은 향상된다.


김기동, 이정희. (2017). 한국 시민들의 신뢰 수준 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연구. 아태연구. 24(2), 5-39.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5-120

OECD (2001). The wellbeing of nations: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education and skills. Paris, France: OECD

Putnam, R. D. (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행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회의 구성 - 국회의장단  (10) 2023.05.05
입법 및 입법 절차  (12) 2023.05.04
대통령의 거부권(법률안 재의요구권)이란?  (18) 2023.05.04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  (18) 2023.05.02
거버넌스 Governance?  (26) 2023.02.28
profile

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미소 지기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