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동형화란 무엇인가요?

동형화(isomorphism)란 동일성이라는 뜻처럼 서로 다른 대상 간에 유사성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같은 환경 조건 내에서 다른 조직(unit)을 닮도록 일반 조직을 구속하는 과정(constraining)으로 보고 있다(Hawley,1968).

 

조직은 생존과 정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동형화(isomorphism)을 통해 조직을 제도화하고 이를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특성을 지닌다. 다만 모든 조직이 생존의 가능성과 정당성을 위해 제도를 통해 조직의 보편적인 목적과 이익을 추구하지만, 조직 내의 개인의 행위에 따라서 이익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조직은 이러한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고 조직의 발전을 위하여 규칙, 의미, 가치 등을 더욱더 정형화된 제도로 형식화하고, 이 안에는 조직 내부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규범적 기대를 포함한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제도적 동형화란

Meyer&Rowan(1977)과 DiMaggio & Powell(1983)은 제도적 동형화에 대하여 조직이 외부 환경에서 정당성 확보를 위해 제도와 동형화를 이루는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동형화의 원인 논의

사회적 신제도주의 동형화 : Dimaggio & Powell(1983

1) 강압(강제)적 (coercive) : 정치적 영향과 정당성의 문제에서 유발됨

⤑조직이 의존하고 있는 다른 조직이나 사회의 기대등에 의한 압력으로, 조직 형태가 유사하게 변화하거나 변화한 상태를 말한다.

예) 정부의 정책 추진에 따른 규제적 지침

 

2) 모방적 (mimetic) : 불확실성에 대한 표준적 응답을 위해 발생

⤑ 조직 목적이 불문명하거나 환경이 불확실할 때,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조직을 모방하여 유사한 조직 형태를 가진다

예) 벤치마킹 또는 우수사례 모방

 

3) 규범적 (normative) : 전문성과의 연계되는 개념으로 조직의 전문화를 통해 나타나는 유형

조직은 항상 불확실성을 배제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 과정에서 전문성을 매우 중요한 힘이 되기도 하는데 규범적 동형화는 교육을 통해 보편화된 규범을 공유한 관리자들이 조직 형태를 유사하게 관리하거나,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조직 형태에 대한 보편화된 경험으로 유사한 조직 형태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4) 경쟁적 (Competition) : 타 조직에 대비해 더 효율적으로 경쟁하기 위해 제도에 적응하다가 유사한 조직 구조를 갖는 것

– 적응적 학습, 시장경쟁, 베버의 관료제 등

⤑ Hawley(1968), Hannan &Freeman(1977)에 의해 경쟁이론(competition theory)과 적소이론(niche theory)으로 발전

 

 

 

참고문헌 

김지연. "동형화 및 탈동형화 이론을 통한 해외 한국어·한국문화 교육 정책 차용 과정과 특징 분석 연구 -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서울

DiMaggio, Paul J. (1988). “Interest and Agency in Institutional Theory”. Institutional Patterns and Organizations, 3-21. Cambridge.Massachusetts; Ballinger Publishing Company.

Meyer, J, W & Rowan, B(1977).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3(2):340-363

Hannan, M. T. & Freeman, J. (1977)조직의 인구 생태. 미국 사회학 저널, 82(5), 929-964.

profile

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미소 지기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