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항 스포츠 경기를 보며 한국인에 대해 집단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하는 주장이 종종 제기되곤 합니다. 특히 IMF 때의 금 모으기 운동, 2002년 한, 일 월드컵의 붉은 악마, 촛불시위 등은 한국인의 집단주의적 면모를 보여주는 사례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인은 과연 집단주의적일까요? 그동안 우리는 가족주의, 가부장제도, 민족주의, 국뽕과 같은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하며 집단주의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습니다. 이글에서는 이러한 집단주의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집단주의(Collectivisim)란 무엇인가요?
집단주의란 하나의 문화를 이루고 있는 사회의 구성원이, 스스로를 자신이 속해있는 집단(가족, 사회, 국가등)의 일부로 간주하고, 집단이 추구하고자하는 목적을 향해 움직이고, 그에 따른 규범과 의무, 동기를 부여받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집단주의는 개인보다 집단의 목표와 가치를 우선시하는 사회 문화적 가치관으로, 개인의 행동과 의사결정이 집단의 관습, 규범, 기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집단주의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보다, 조화 또는 화합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책임, 서로에게 의존하고, 협력하며 살아가는 삶등이 강조되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집단주의의 개념은 그 유형에 따라 다양한 특징과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하나의 개념으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집단주의의 특징
- 집단의 우선성 - 개인의 욕구보다 집단의 목표와 의식을 우선시
- 상호 의존 - 서로에게 의존하고 협력
- 강한 공동체 의식 : 소속감, 책임감
- 협력과 조화 - 개인의 갈등보다 집단 내 조와화 공동체 의식을 중요시
- 복종과 규범 - 권위에 대한 복종, 존경과 함께 규범과 규칙을 준수하는 것을 중요
- 책임 분담 -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에 대한 책임을 가짐
집단주의의 장점과 단점
집단주의는 공동체 의식을 통해 사회 구성원들이 동일한 목표의식과 연대의식을 형성하고 있으며, 협력과 조화를 통해 사회가 안정되고,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안정감을 높여주는 장점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거나,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집단의 결정에 대해 책임소재가 불분명 해지거나 비효율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공동의 목표를 위해 구성원들의 목표의식과 연대 의식이 강화됨에 따라 비판 문화가 부재하게 되거나, 집단 이기주의 형태로 빠질 수 있는 단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장점 | 단점 |
강력한 사회적 안전망 | 개인의 자유 침해 |
공동체 의식 | 개인의 창의성 저해 |
사회적 문제 해결 - 집단의 목표달성 | 집단 이기주의 |
안정 | 책임소재의 불분명 |
협력 | 비효율적 의사결정 |
비판 문화 부재 |
집단기반주의와 관계형 집단주의 (M. Brewer and Y. Chen)
집단기반주의 (Group-based collectivism)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를 속한 집단에 기반하는 집단주의의 유형으로, 집단구성원들은 강력한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목표와 규범에 강력하게 동일시하고, 집단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중요시합니다.
관계형집단주의(Relational - collectivism)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를 긴밀하고 지속적인 관계에 기반하는 집단주의의 유형으로, 인간관계의 조화와 유대감을 중요시하며, 개인은 가족, 친구, 동료 등 친밀한 관계 속에서 상호 의존하고 협력하며, 서로에게 책임감을 느끼는 등 서로 돕고 지지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주요 차이점
구분 | 집단기반주의 | 관계형집단주의 |
강조점 | 공동의 목표, 규범, 가치관 | 개인적 관계, 유대감, 신뢰 |
개인 정체성 | 집단 | 관계 |
사회구조 | 계층적, 위계적 | 평등적, 수평적 |
공동체 의식 | 강함 | 중간정도 |
가치관 | 집단 목표 | 관계 유지 및 발전 |
규범 | 강력하고 명확, 중요시 | 유연하고 상황에 따라 변동 |
관계유형 | 형식적, 계층적 | 비형식적, 평등적 |
개인의 자유 | 제한적 | 집단기반주의보다는 자유로움 |
책임 | 집단 | 개인 및 집단 : 관계 구성원에 대한 책임 |
의사결정 | 집단중심 | 협의중심 |
갈등해결 | 권위에 의존 | 협상 및 타결 |
집단주의 예시
집단주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전통적으로, 가족이나 가문을 매우 중요시하는 사회에서는 가족(가문)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노력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가부장적 사회구조 또는 일본의 가문(사무라이와 같은) 구조, 서구의 다양한 가문에서 주로 나타나는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부 국가나 사회에서 집단의 안정성과 발전을 강조하는 정치체제가 존재 합니다. 특히 이러한 정치 체제하에서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보다는 집단의 이익과 안정성이 우선시되며, 사회국의 국가 또는 독재국가라고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구체적으로 북한을 예를 들어보면 북한의 사회구조는 주체사상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가의 이익과 당의 목표가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시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의 행동은 집단에 목표에 부합되도록 조절되며, 개인주의보다는 집단의 단결과 안정성을 중시하게 됩니다.
군사 조직에서도 집단주의적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군사조직은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인의 이익을 억할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훈련을 통해 집단의 통일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기 때문에 개인의 목표나 이익, 욕구는 집단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조절하거나, 집단의 이익에 의해 거부될 수 있습니다.
종교조직의 경우에도 공동체 의식과 집단주의적 의식이 기반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교는 집단의 신앙과 목표를 중시하며, 개인의 신념이나 행동도 종교의 가르침과 일치해야만 인정이 됩니다. 이러한 종교적 집단주의적 성향은 종교공동체의 단결을 강화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때때로 안 좋은 방향으로 표출되는 경우, 집단내 단결성만을 강조하고, 외부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집단의 순수성을 유지하려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한국사회와 집단주의
한국사회는 전통적으로 집단주의가 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가족, 학교, 기업 등 다양한 사회집단에서 집단주의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어왔지만, 최근에는 개인주의적 가치가 점차 확산되면서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가치관과 개성을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어 가면서,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집단의 구성원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이 달라지면 서 전통적인 지연이나 학연과 같은 집단주의의 형태가 약화되어 가고, 작지만 더 친밀한 그룹 형태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정보화시대로 들어서면서 SNS와 작은 모임 형태의 그룹들이 특화되고, 개별화되면서, 느슨한 관계 형태의 집단주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인이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단을 이용하는 형태를 취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집단주의는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가치 중의하나로 자리 잡고 있는데, 일종의 어떠한 그룹이나 집단에 소속되고 싶다는 욕구에 기반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사회는 전통적으로 집단기반주의 문화가 강했지만 최근에는 관계형 집단주의 특징도 점차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가족, 친구, 동료 등 친밀한 관계 속에서 상호 의존하고 협력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참고
Jungeun Yang(양정은),and Jae-Won Lie(이재원). "Has the Collectivism of Koreans been changed? An exploratory study."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 (2020): 593-610.
양정은. "한국적 집단주의(우리성, we-ness)가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5 (2019): 1-14.
M. Brewer and Y. Chen, “Where(who) are collectives in collectivism? Toward conceptual clarifica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Psychological Review, Vol.114, pp.133-151, 2007.
'행정학 >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듀발과 밀러의 8단계 가족생활주기 (2) | 2024.05.04 |
---|---|
알몬드와 베르바의 정치문화 유형과 한국 정치문화 (1) | 2024.05.02 |
사회,사회화,문화화 (0) | 2024.03.06 |
가구와 가족 통계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 (1) | 2024.03.03 |
인구통계 - 결혼,혼인 지표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 (0) | 202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