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불평등과 빈곤을 측정하는 중요한 도구 중 하나는 균등화 개인소득입니다.
균등화 개인소득이란?
균등화 개인소득은 가구소득을 각 가구원의 소득으로 전환한 개인소득을 말합니다. 가구의 경제적 효용을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가구소득을 균등화 소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균등화 처리라고 하며, 균등화 개인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분배지표를 작성하게 됩니다.
균등화 개인소득은 가구소득을 단순히 가구원 수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제안한 제곱근지수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며, 가구의 크기와 구성을 고려하여 소득을 조정합니다.
균등화 소득 계산 방법
먼저 모든 가구원의 가처분 소득을 모두 합산합니다.
이 합계에서 납부한 세금과 사회 공헌금(기부금)은 제외됩니다. 소득의 기준 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입니다.
가구의 구성과 규모에 따른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표준 척도를 사용하여 가구 구성원에게 연령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그런 다음 가중치를 합산합니다.
그런 다음 가구의 총소득을 가중치의 총합으로 나누어 대표 소득을 구합니다. 균등화 개인소득은 각 가구원에게 동일하게 귀속됩니다.
OECD의 제곱근지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됩니다:
$$[ \text{균등화 개인소득} = \frac{\text{가구총소득}}{\sqrt{\text{가구원 수}}} ]$$
이 수식을 통해 가구의 총 소득을 가구원 수의 제곱근으로 나누어 균등화 개인소득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성인 2명과 아동 2명으로 구성된 가구의 총소득이 400만 원인 경우, 이 가구의 균등화 개인소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text{균등화 개인소득} = \frac{400만 원}{\sqrt{4}} = \frac{400만 원}{2} = 200만 원 ]$$
이는 해당 가구의 각 가구원이 200만 원의 소득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참고
1. OECD 균등화 척도
OECD 균등화 척도는 1982년 OECD가 균등화 척도가 확립되지 않은 국가에서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척도를 "구 OECD 척도"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OECD 균등화 척도는 다음과 같이 값을 할당합니다.
14세 이상의 첫 번째 가구원에게 1.0의 값을 부여합니다.
14세 이상의 추가 가구원 1명당 0.7의 값을 부여합니다.
14세 미만인 각 자녀에게는 0.5의 값을 부여합니다.
2. OECD 수정 동등성 척도
OECD 수정 등가 척도는 1990년대 후반에 Eurostat에서 채택한 척도입니다. 현재 Eurostat는 이 척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척도는 다음과 같이 값을 할당합니다.
14세 이상의 첫 번째 가구원에게 1.0의 값을 부여합니다.
14세 이상의 가구원이 추가될 때마다 0.5의 값을 부여합니다. 14세 미만인 각 자녀에게는 0.3의 값을 부여합니다.
3. 제곱근 균등화 척도
총 가구 소득을 가중치 합계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입니다.
소득분배지표 작성
소득분배지표는 소득이 얼마나 평등하게 분배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로 개인단위를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예를 들어 상대적 빈곤율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몇퍼센트가 빈곤층에 포함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균등화 개인소득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표를 계산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지표로는 상대적 빈곤율, 5분위 배율, 10분위 배율 등이 있습니다.
5 분위 배율과 10 분위 배율
5 분위 배율은 소득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이를 5개의 동일한 규모의 집단으로 나눈 후, 상위 20%의 소득과 하위 20%의 소득의 비율을 계산한 것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text{5분위 배율} = \frac{\text{상위 20%의 평균소득}}{\text{하위 20%의 평균소득}} ]$$
10분위 배율은 소득을 10개의 동일한 규모의 집단으로 나누어 상위 10%와 하위 10%의 소득 비율을 계산한 것입니다.
백분위율
백분위율은 소득을 100개의 동일한 규모의 집단으로 나눈 후 각 분위의 상한값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P90/P10은 90분위 상한값과 10분위 상한값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text{P90/P10} = \frac{\text{P90 소득}}{\text{P10 소득}} ]$$
이 지표는 소득 분포의 극단을 비교하여 불평등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균등화 개인소득의 중요성
균등화 개인소득을 사용하는 이유는 가구 내에서 자원이 어떻게 분배되고 공유되는지를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는 같은 금액의 소득이라도 경제적 효용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소득 분배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용어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위소득계층과 중산층 (1) | 2024.07.10 |
---|---|
균등화 시장소득과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정의와 계산법 (1) | 2024.07.10 |
소득 분배 지표 이해하기: 분위 배율과 백분위율 (0) | 2024.07.09 |
빈곤갭 비율(Poverty Gap Ratio) (1) | 2024.07.08 |
상대적 빈곤율 - 빈곤의 그림자, 우리 사회의 현주소와 나아갈 길 (1)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