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분배 지표란?
소득 분배 지표는 경제적 불평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중요한 도구로 소득이 얼마만큼 공평하게 분배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소득분배 자료는 국민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있는 복지, 조세, 금융, 주택, 교육, 노동, 보건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책을 수립하고 정책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집 · 작성하며, 이러한 소득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득분배지표를 작성하게 됩니다. 소득분배지표는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작성하지만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고, 연령별, 성별로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소득분배지표에는 지니계수, 분위배율, 백분위율, 상대적 빈곤율, 빈곤갭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는 소득이 특정 인구 집단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되는데, 이 글에서는 분위 배율과 백분위율을 중심으로 소득 분배 지표를 자세히 설명하고, 이를 계산하는 방법과 예시를 제공합니다.
분위배율과 백분위율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사용되는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분위란
균등화 개인소득을 오름차순(적은 금액에서 많은 금액 순서)으로 정리하여 이들을 순서에 따라 동일한 규모로 나눈 후 나뉜 각 집단을 분위라고 합니다.
백분위에서 각 분위의 상한값을 PΟΟ로 표시하고, PΟΟ 사이의 비율을 백분위율 지표라고 정의합니다.
균등화 개인소득
가구소득을 각 가구원의 소득으로 전환한 개인소득을 균등화 개인소득이라고 합니다.
분위 배율(Quintile Ratio)
분위배율 정의
분위 배율은 균등화 개인소득을 오름차순으로 정리한 후 동일한 규모의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평균 소득을 비교한 값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분위 배율로는 5 분위 배율과 10 분위 배율이 있습니다.
계산 방법
- 소득 정렬: 모든 개인의 소득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 집단 나누기: 정렬된 소득을 동일한 크기의 다섯 개 집단(5분위) 또는 열 개 집단(10 분위)으로 나눕니다.
- 평균 소득 계산: 각 분위의 평균 소득을 계산합니다.
- 분위 배율 계산: 최고 소득 분위의 평균 소득을 최저 소득 분위의 평균 소득으로 나눕니다.
수식
$$[ \text{5분위 배율} = \frac{\text{5분위 평균 소득}}{\text{1분위 평균 소득}} ]$$
$$[ \text{10분위 배율} = \frac{\text{10분위 평균 소득}}{\text{1분위 평균 소득}} ]$$
예시
- 1분위 평균 소득: $10,000
- 5분위 평균 소득: $50,000
이 경우, 5분위 배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text{5분위 배율} = \frac{50,000}{10,000} = 5 ]$
즉, 최고 소득 집단의 평균 소득은 최저 소득 집단의 평균 소득보다 5배 높다는 의미입니다.
백분위율(Percentile Ratio)
정의
백분위율은 균등화 개소득을 오름차순으로 정리한 후 동일한 규모로 나누고, 각 분위의 상한값을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백분위율 P90/P10은 90번째 백분위의 소득 상한값과 10번째 백분위의 소득 상한값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계산 방법
- 소득 정렬: 모든 개인의 소득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 백분위 나누기: 정렬된 소득을 100개의 동일한 크기로 나눕니다.
- 백분위 상한값 계산: 각 백분위의 상한값을 계산합니다.
- 백분위율 계산: 예를 들어, P90/P10 비율은 90번째 백분위의 소득 상한값을 10번째 백분위의 소득 상한값으로 나눕니다.
수식
$$P90/P10 = \frac{\text{90번째 백분위 상한값}}{\text{10번째 백분위 상한값}} ]$$
예시
- 10번째 백분위 소득 상한값: $20,000
- 90번째 백분위 소득 상한값: $180,000
이 경우, P90/P10 백분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P90/P10 = \frac{180,000}{20,000} = 9 ]$
즉, 90번째 백분위의 소득 상한값은 10번째 백분위의 소득 상한값보다 9배 높다는 의미입니다.
중요성
소득 분배 지표는 경제적 불평등을 이해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분위 배율과 백분위율을 사용하여 사회 내 소득 격차를 시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의 5분위 배율이 높다면, 이는 소득 불평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부가 소득 재분배 정책을 통해 하위 소득층을 지원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반면, 백분위율을 통해 상위 10%와 하위 10% 사이의 소득 격차를 파악하면, 소득 불평등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심각한지 알 수 있습니다.
분위 배율과 백분위율은 소득 분배를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이들 지표를 통해 소득 불평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경제학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이러한 지표를 활용하여 사회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용어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균등화 시장소득과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정의와 계산법 (1) | 2024.07.10 |
---|---|
균등화 개인소득: 소득분배지표의 핵심 이해 (1) | 2024.07.09 |
빈곤갭 비율(Poverty Gap Ratio) (1) | 2024.07.08 |
상대적 빈곤율 - 빈곤의 그림자, 우리 사회의 현주소와 나아갈 길 (1) | 2024.07.05 |
자기 객관화와 자기 대상화란? (2)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