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Gulick & Urwick 행정관리론

Gulick은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시에 설치된 '행정관리에 관한 대통령 자문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하여 예산국을 중심으로 한 대통령실의 중앙관리기구 확충 안을 제시한 행정학자이다. 이후 1937년 행정과학논집을 통해 최고 관리자가 반드시 수행해야 할 일곱 가지 기능을 POSDCoRB라는 용어로 제시하였다. 

Gulick & Urwick은 Fayol의 행정과정 5요소를 확장, 발전시켜 어떠한 시대나 지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타당한 과학적 원리가 존재하며 7가지 행정과정을 통해 모든 조직은 가장 능률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될 수있다고 주장하며 능률성과 합리성을 강조한  POSDCoRB라는 약어로 표현되는 행정과정을 제시하였다.

특히 관리자의 입장에서 행정이 이루어지는 순서, 단계, 과정을 중심으로 조직 관리나 행정의 효율화, 합리화, 과학화를 추구하였다. 

 

POSDCoRB는 최고관리층(대통령이나 장관)의 하향적 지시에 의한 조직관리방식으로, 조직 이론의 고전적인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Gulick & Urwick  행정관리론의 목적 

모든 행정조직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수 있는 가장 능률적인 조직의 원리를 찾아 조직의 능률을 향상한다

Gulick & Urwick 행정관리론의 7가지 요소

계획, 기획 (Planning)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 설정,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 및 실행 계획 수립.

조직 (Organizing)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구조를 설정하고 과업을 배분하고, 규정(조직 내에서의 업무, 역할 및 책임의 구조화)

인사 (Staffing)

직원의 채용과 해고, 직원의 훈련, 우호적인 활동 조건의 유지들 각각의 지위에 적절한 인원을 채용, 배치(인사 관리, 채용 및 인력 할당 관리)

지시, 명령 (Directing)

행정책임자가 의사를 결정하고 각 부서에 명령과 지시 -  합리적 결정, 능동적 관심, 헌신적 태도, 칭찬, 책임과 권한, 효과적 위임 등 목표 달성을 위한 지도, 리더십 및 감독.

반응형

조정 (Coordinating)

조직 내 업무 수행 관계를 상호 관련시키고 통합, 조절하는 일 - 서로 다른 부서 또는 단위 간의 원활한 협력 보장.

보고 (Reporting)

각각의 조직 활동과 상황에 대한 기록, 조사, 연구, 감독하는 일 - 감사, 조사, 연구, 기록 등 진행 상황, 결과 및 성과 지표 전달하는 행위

예산 (Budgeting)

투명한 재정 운영과 효율적 운영을 위한 중장기적 재정 계획을 수립하고, 예산편성, 회계, 재정통제, 결산 - 재정 자원 효율적 할당.

평가(Evaluating) : 사회복지 행정의 기본 과정에서는 평가 부분을 함께 이야기합니다. 

서비스의 적절성, 효과성, 효율성등을 평가

 

 

Gulick은 이러한 요소들이 기업의 규모와 복잡성에 따라 어떻게 위임되고 조직화될 수 있는지를 더 자세히 정의했습니다. 예를 들어, 조직화는 수직 또는 수평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효율성을 위해 노동의 전문화가 중요하다고 Gulick은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구조의 한계도 인식하고, 조직화 방법을 네 가지로 설명했습니다.

Gulick의 조직화, 조직편성

목적에 따라 조직화 (수직적 조직): 물을 공급하거나 교육을 제공하거나 범죄를 통제하는 등 작업자가 수행하는 목적에 따라 조직화하는 것을 수직적 조직(목적에 따른 조직으로)이라 합니다. 

 

작업 프로세스에 따라 조직화 (수평적 조직): 엔지니어링, 의료, 법률, 통계 등 작업자가 사용하는 프로세스에 따라 조직화됩니다.

 

사물 또는 인물에 따른 조직화: 정부에서 이민자, 군인, 숲, 광산, 공원과 같은 사람 또는 사물인 경우 부서 상점의 가구 부서, 의류 부서, 하드웨어 부서, 신발 부서와 같은 사람 또는 사물에 따라 조직화

 

작업자가 작업하는 장소에 따라 조직화: 

학교, 병원 등과 같이 수직적 조직화 및 수평적 조직, 사물이나 사람에 따른 조직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장소의 경우 조직화가 종종 교차되며 상호 관련된 구조를 형성합니다.

'행정학 > 조직과 조직행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대 성격 특성(Big Five, OCEAN)  (2) 2024.04.09
Z이론 - William G. Ouchi  (1) 2024.04.08
Blau & Scott의 조직 유형  (0) 2024.04.03
인간관계론의 이해  (1) 2024.04.01
조직이란  (2) 2024.03.30
profile

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미소 지기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