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정학/예산과 재정'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 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국가채무, 일반정부 부채,공공부문 부채
·
행정학/예산과 재정
국가채무는 국가의 재정 건전성과 경제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IMF의 국제통계작성기준(Public Sector Debt Statistics Guide for Com pilers and Users: 이하, PSDS)에 따라 공공부문의 부채를 산출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포괄범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부채가 산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부채는 국가채무(D1), 일반정부 부채(D2), 공공부문 부채(D3) 등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분하며, 각각은 국가의 재정운용, 국제비교, 공공부문 재정건전성 관리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국가부채 국가채무와 국가부채는 모두 국가의 부채를 나타내는 개념이지만, 그 범위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국가채무는 중앙..
ZBB(Zero-Based Budgeting),영기준예산제도
·
행정학/예산과 재정
예산은 정부 또는 기업, 조직에서 특정기간 동안 수입과 지출을 계획하는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그중에서도 정부 예산 은은 정부가 수입을 얻고 지출을 계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산입니다. 이러한 예산 제도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예산을 준비, 제출, 승인, 실행, 감사, 평가등의 프로세스와 절차, 그리고 방법 등을 규정하게 됩니다. 이글에서는 “영기준예산제도(ZBB)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기준예산제도(ZBB)는 전통적인 예산제도와는 매우 다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잘못된 자원 배분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ZBB의 기본 개념부터 장단점, 실제 적용 사례까지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겠습니다. ZBB(Zero-Based Budgeting,영기준예산제도..
성과주의예산제도 - 미국 GPRA, PART,GPRAMA
·
행정학/예산과 재정
정부에서는 수행하고자 하는 사업이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예산을 편성하기 때문에 정부사업과 예산과의 관계를 명백히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산은 항상 한정적이기 때문에, 어떤 프로그램이나 기관이 정치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어떻게 배분할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미국의 1950년대 성과예산과 오늘날의 성과주의 예산 간의 차이점은 고객만족이라는 외적인 요소에 상당한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정부활동에 관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고, 정책 집행에 대한 책무성을 확보하려는 이념에 기초합니다. 또한 예산 결정이 보다 체계적인 흐름하에서 결정될 수 있다는 것, 즉 합리적인 선택과 결정을 위한 성과와 관련된 정보, 기준, 지표 그리고 재정적 흐름이 갖추어져 있고 성과자료를 축적하..
자기자본 비율이란? with BIS
·
행정학/예산과 재정
자기자본비율은 일반적으로 기업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되는데 국제결제은행(BIS)이 정하는 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을 자기자본비율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기자본비율은 IMF 외환위기 당시 국내 은행의 건전성을 따지기 위해 BIS 자기자본비율을 거론하면서 많이 알려졌습니다. 최근에도 외환은행의 매각건이 다시 대두되면서 당시 외환은행의 BIS 자기 자본비율에 대해서 거론되고 있습니다. 외환은행 되팔아 '4조 먹튀' 해놓고 "韓정부가 승인 미뤄 손해봤다" 제소 [뚜껑 열린 론스타 판정] 외환은행 헐값인수 의혹이 제기된 지난 2003년 8월부터 이어진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의 악연은 8월 31일 사실상 일단락됐다. 이날 세계은행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 중재판 www.f..
회계의 유동성 - 유동성 비율
·
행정학/예산과 재정
회계 유동성은 기업의 금융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 즉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회계 유동성의 개념과 주요 지표들인 Current Ratio, Acid-Test/Quick Ratio, Cash Ratio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를 통해 기업의 재무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과 장점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1. 유동성이란 무엇인가? 유동성은 기업이 당기채무를 상환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단기적으로 기업의 금융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념입니다. 즉, 기업이 당기에 만기가 도래하는 채무를 이행하기 위해 보유한 자산과 현금성 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재무구조 건전성을 의미합니다. 유동성 비율은 유동성을 측정하는 비율로서 유동비율과 당좌 비율로 분류하며, 유동비율은..
소비자 물가지수(CPI)에 대하여
·
행정학/예산과 재정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상을 바라보며 연준이 인플레이션 상황을 지켜보며 또다시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음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기준 중의 하나로 사용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소비자 물가지수(CPI)입니다.  소비자 물가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CPI, Cunsumer Price Index)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를 의미합니다. 2023년 현재 지수의 기준연도를 2020년 = 100 으로 하고 있으며 상품 및 서비스 458개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가격조사지역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40개 지역 : 월 3회 조사(초순, 중순, 하순 주중 1일)농..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이해
·
행정학/예산과 재정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은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영역에서 모든 경제 주체가 생산한 상품(재화)과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시장가치)하여 합산한 것으로, 이는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의 기여를 포함하고,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합니다. GDP는 가격 측정 방법에 따라 명목 GDP와 실질 GDP로 나뉩니다. 명목 GDP는 국가 경제의 규모와 구조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고, 실질 GDP는 경제 성장과 변동 등 전반적인 경제 활동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 부가가치: 생산 활동에 의해 새로이 창출된 가치 부가가치 = 총 산출액- 중간소비(중간투입) 부가가치는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고정자본소모, ..
조세특례란 무엇인가요?
·
행정학/예산과 재정
조세특례란 일반적인 세법의 규정에서 벗어나 특정한 목적을 위해 특정한 대상에게 부여하는 세제상의 우대조치를 말합니다. 말 그대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세금을 감면해 주는 법률입니다. 이러한 조세특례에는 조세감면, 비과세, 소득공제, 세액공제, 우대세율 적용 또는 과세이연 등이 있습니다. 조세특례는 정부가 특정 산업이나 계층에게 세금 면제 또는 감액을 통해 지원하는 제도로서, 조세지출의 한 형태입니다 연봉 8000만원도 '월세 세액공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추진 - 머니S 월세로 낸 주거비의 일부를 세액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이 현행 7000만원에서 8000만원으로 상향조정되는 법안이 추진된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고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www.moneys.co.kr 예를 들어 기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