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정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22 Page) — 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회계의 유동성 - 유동성 비율
·
행정학/예산과 재정
회계 유동성은 기업의 금융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 즉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회계 유동성의 개념과 주요 지표들인 Current Ratio, Acid-Test/Quick Ratio, Cash Ratio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를 통해 기업의 재무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과 장점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1. 유동성이란 무엇인가? 유동성은 기업이 당기채무를 상환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단기적으로 기업의 금융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념입니다. 즉, 기업이 당기에 만기가 도래하는 채무를 이행하기 위해 보유한 자산과 현금성 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재무구조 건전성을 의미합니다. 유동성 비율은 유동성을 측정하는 비율로서 유동비율과 당좌 비율로 분류하며, 유동비율은..
소비자 물가지수(CPI)에 대하여
·
행정학/예산과 재정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상을 바라보며 연준이 인플레이션 상황을 지켜보며 또다시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음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기준 중의 하나로 사용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소비자 물가지수(CPI)입니다.  소비자 물가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CPI, Cunsumer Price Index)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를 의미합니다. 2023년 현재 지수의 기준연도를 2020년 = 100 으로 하고 있으며 상품 및 서비스 458개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가격조사지역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40개 지역 : 월 3회 조사(초순, 중순, 하순 주중 1일)농..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유형
·
행정학/사회학
디아스포라(Diaspora)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너머'를 뜻하는 '디아(dia)'와 '씨를 뿌리다'를 뜻하는 '스페로(spero)'가 합성된 단어로, 이산(離散) 또는 파종(播種)을 의미하는데, 본래는 팔레스타인을 떠나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후에 그 의미가 확장되어 본토를 떠나 타국에서 자신들의 규범과 관습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공동체 집단 또는 그들의 거주지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흔히 '이탈리아 디아스포라' 또는 '아일랜드 디아스포라'와 같이 특정 국가나 문화 지역으로부터 이주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개념을 말하며 주로 한 지역이나 국가를 떠나 다른 지역이나 국가로 이주한 민족, 문화 또는 종교적 공동체를 의미합니다...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이해
·
행정학/예산과 재정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은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영역에서 모든 경제 주체가 생산한 상품(재화)과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시장가치)하여 합산한 것으로, 이는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의 기여를 포함하고,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합니다. GDP는 가격 측정 방법에 따라 명목 GDP와 실질 GDP로 나뉩니다. 명목 GDP는 국가 경제의 규모와 구조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고, 실질 GDP는 경제 성장과 변동 등 전반적인 경제 활동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 부가가치: 생산 활동에 의해 새로이 창출된 가치 부가가치 = 총 산출액- 중간소비(중간투입) 부가가치는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고정자본소모, ..
사회학, 사회과학의 차이
·
행정학/사회학
일반적으로 사회학이라는 용어와 사회과학이라는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회학과 사회과학이 인간의 행동, 사회조직등을 연구하는 학문분야인 것은 동일하지만 각각의 범주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사회학의 개념 사회학은 사회적 현상과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사회학에는 개인과 집단의 상호작용, 사회조직, 사회적 구조, 사회문화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회현상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사회적 패턴과 변화등을 분석하고,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과 문제 해결의 키를 제공하는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사회학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대표적 3가지 형태로 분류됩니다. 1. 일반 사회학 : 보편화된 인식을 목적으로 사회학 일반에 적용될 수 있는 기본 문제와 개념을 다루는 분야 2. 역사 사회학 : 개별화..
사회학이란 어떤 학문일까?
·
행정학/사회학
사회학이란 인간의 사회적 행위, 사회관계에 따른 상호작용, 집단 및 사회 구조와 변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사람이 어떻게 사는지, 왜 그렇게 사는지를 사회와 연관시켜서 설명하는 학문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회학의 중심과제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구조적 특징과 개개인의 사회적 행위 유형의 특징 및 사회구조의 변화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회학의 관심 분야사회학은 기본적으로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행위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특수하거나 불규칙한 행위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행위유형과 사회 현상에 주목합니다.  사회적 상상력(Sociological imagination) Mills,1959개개인의 일상적 활동(행위)과 여기에..
카리스마리더십 with 에치오니
·
행정학/조직과 조직행동
카리스마리더십은 Weber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습니다. 에치오니(Etzioni)는 Weber가 복종(obedience), 즉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지시에 왜 복종하는가에 관심을 가졌다면 , 에치오니는 순응(compliance), 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누군가에게 순응하는 가에 관점을 두고 연구하고, 카리스마를 '구성원들의 규범적 지향에 대하여 넓고 깊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리더의 능력'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에치오니의 카리스마 리더십의 특징 1. 카리스마는 리더의 특성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리더와 부하 간의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부하의 반응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리더가 부하에게 카리스마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부하의 순응을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2.‘신뢰’는 에치오니의 카리스마 ..
카리스마리더십 with 막스베버
·
행정학/조직과 조직행동
막스베버(Max Weber, 1864-1920)는 독일의 사회학자이자 철학자로서, 현대 사회과학과 리더십 이론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Weber 사회과학적 연구방법론은 논리적이고,  실증적으로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어왔습니다. 더불어, Weber는 사회적 계급, 권력, 정치 체계, 종교, 조직 등 다양한 영역에서 리더십의 본질과 기능을 탐구했습니다. 막스베버의 사회학적 접근은 주로 가치론적인 관점을 강조하며, 개인과 사회 간의 관계, 권력의 형성과 운용, 문화와 종교적 영향력 등을 중심으로 연구했습니다. Weber의 카리스마 리더십 Weber의 카리스마 이론은 사회학적이고, 상징적인 관점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리더가 다른 사람들을 강력하게 자신의 영향력 아래로 끌어들이는 능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