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구조기능주의(구조기능론)는 사회학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로, 사회 구조와 그 구조가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에 관점을 두고 있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사회체계를 생물유기체와 비유하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이 각기 서로 고유한 기능이 있으며, 조화롭게 통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보고, 사회 문제는 역할의 일정 부분이 문제가 생겼을 때 불균형이 발생하며, 문제가 되는 일부분의 기능을 회복하게 되면 사회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구조기능주의는 사회현상을 보다 안정적이고 조직적인 면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로, 기능이란 사회시스템이나 사회적 구조가 그 질서를 유지하고 지속하는데 기여하는 행위, 기능 또는 목적을 의미합니다. 

 

구조기능주의에서의 체계의 개념

1. 체계들은 질서와 아울러 부분들 간 상호의존성이라는 고유한 성격을 가짐

2. 질서 또는 균형상태(항상성)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음

3. 전체 체계는 정태적일 수 있지만 질서 있는 변동과정을 수반할 수도 있음

4. 전체 체계의 한 부분은 다른 부분들이 취할 수 있는 형식(form)에 영향을 미침

5. 체계들은 그 환경들과 경계선(영역, 역할)을 유지함

6. 안정 및 통합은 사회체계의 균형상태를 위해  필요한 두 가지 기본적인 과정

7. 체계들은 전체와 부분들의 경계와 관계를 유지하며, 환경변화에 따른 통제, 체계를 변화시키려는 그 내부로부터 경향들에 대한 통제를 포함한 자기-유지적인 성향을 가짐

 

 

주요 연구자

파슨스 (Talcott Parsons, 1902~1979)

미국의 사회학자이며 사회학 이론가로 구조 기능주의를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파슨스는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분 들은 상호 의존관계에 놓여 있으며 기능적으로 통합된 하나의 체계(an integrated system)를 이루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즉 사회시스템을 기능적 구조로 이해하고, 사회체계가 인간 행동을 조직하고 안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파슨스의 이론은 대규모 사회체계를 이해하고 그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접근으로 특징 지어볼 수 있습니다. 

사회는 하나의 체계로 이루어지는데 상위체계(A1)와 하위체계 B1, B2, B3, B4....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보면 B1, B2, B3 각각 C1, C2, C3 등의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수많은 체계는 다양한 제도화를 통해 생겨나게 되고 제도화를 통해 사회 구조가 만들어지고 유지됩니다. 

 

반응형

머튼(Robert K.Merton, 1910~2003)

미국의 사회학자로 구조기능주의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대표적인 이론은 기능과 불균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머튼은 파슨스의 기능적 관점을 확장하여 사회 현상의 기능뿐만 아니라 불균형과 갈등을 이해하는데 관심을 두었습니다. 그는 기능적으로 작용하는 측면 뿜만 아니라 사회현상의 부작용과 기능적 불균형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고 사회 제도의 기능을 좀 더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현재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현재적(명시적) 기능(Manifest Function)

각 제도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사회적으로 명백하게 인식되는 의도적인 기능을 의미하며, 사회적 현상이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기대하는 목적을 성취하는데 어떤 효과를 갖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보통 인식되거나 인정되는 기능으로서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인지되고 이해되는 기능입니다. 

 

예시)

1) 학교 교육시스템 현재적 기능 : 학생들에게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고,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과 태도를 배우는 데에 기여하는 것

2) 언론의 현재적 기능 : 대중에게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며, 사회적 의견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

 

잠재적 기능(Latent Function)

잠재적 기능은 제도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전혀 의도되지도 않았고 계획적으로 고안된 바가 없이 표면적으로는 은폐되어 있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사회 구성원들이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미래에 더 나은 기능을 제공하는데 기여합니다. 

잠재적 기능은 일반적으로 미시적 수준에서 발견되며, 사회구성원들의 행동과 태도,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도된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인식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예시)

 1) 학교 교육 시스템의 잠재적 기능 : 학생들이 친구를 사귀며,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협력하는 팀워크를 배우는데 기여하는 것

2) 언론의 잠재적 기능 : 대중에게 사회적 가치와 도덕적 행동을 유도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

 

 

역기능(Dysfunction)이란

사회현상이나 사회구조가 기대되는 기능과는 달리 사회체계의 안정을 저해하거나 해체하는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사회적 현상이나 구조가 원래 의도된 목적과는 반대로 부작용이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역기능은 보통 예상치 못한 결과로 발생하며, 의도적으로 추구하지 않는 결과이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현재적 기능이나 잠재적 기능이 예상과는 달리 역기능으로 작용될 수 있습니다. 

 

예시)  살인, 가도, 사기 등

학교 교육 시스템의 역기능 : 학교교육 시스템은 현재적 기능은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지만, 학교에서 경쟁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평가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지면서 학생들의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기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언론의 역기능 : 언론의 현재적 기능은  대중에게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며, 사회적 의견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지만, 언론 편향적인 보도나 정보의 왜곡으로 인해 대중의 의견이 형성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기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행정학 >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사대주의와 문화 제국주의  (3) 2023.08.16
문화와 자문화 중심주의  (5) 2023.08.15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유형  (4) 2023.07.22
사회학, 사회과학의 차이  (18) 2023.07.02
사회학이란 어떤 학문일까?  (5) 2023.07.02
profile

내일과 사랑이 있는 삶

@미소 지기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